조선시대 전남북과 제주도를 관할했던 전라감영 복원사업이 내년부터 본궤도에 오를 전망이다.

완전 복원이나 축소 복원 등의 규모에서부터 복원 방향, 내용, 사업방향 등에 이르기까지 전문가들의 종합적인 의견을 수렴한 뒤 연말까지 모든 방식을 정리하고, 내년에 복원 공사를 시작할 계획이다.

23일 전주시에 따르면 25일 오후 2시 전통문화센터에서 ‘전라감영 복원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학술세미나를 열 계획이다.

이날 세미나는 복원방식에 대해 4명 전문가의 주제발표와 학계, 언론계, 의회, 시민단체 등 8명의 패널들의 집중 토론이 이어진다.

시 관계자는 “이번 행사는 그 동안 논의만 해온 전라감영 복원에 대한 추진방향을 최종 결정하기 위한 자리로, 쟁점사항에 대해 주제별 토론회를 지속 실시해 범시민적 공감대를 얻어 복원방향을 확정 지을 방침”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전주시는 지난해 2월 전라감영 복원에 대한 용역을 실시, 용역기관인 원광대학교 부설 도심 및 지역개발연구소에서 사업방향을 마련했다.

그러나 이후 소모적 논쟁만 이어진 채 구체적 추진계획을 정하지 못하고 1년6개월이 넘은 현재까지 뚜렷한 방향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당시 용역기관은 감영복원의 범위를 4천880평인 옛 도청사 부지와 1만6천여평의 전라감영 전체 터의 절충안인 도청사와 인근을 포함한 8천930평으로 확정했었다.

전체 예산은 부지매입비, 공사비, 보상비 등 734억여원으로 추산됐다.

기존 도청사 부지를 우선 개발해 선화당과 내아 등 감영의 주요영역을 복원하는 1단계 사업에 280억원을 투입하고, 청사 인근 부지를 매입해 추가작업을 하는 2단계에 301억원, 전라감영이 감영역사 공원으로 재탄생할 수 있도록 광장존을 조성하는 3단계 사업에 153억원을 연차적으로 투입하는 내용이다.

복원지의 성격은 ‘도심 속의 역사공원(감영공원)’으로 규정했으며 선화당을 중심으로 연신당과 응청당을 복원하고 고건축 분야와 전시관, 공방, 시민광장 등 현대건축으로 구분한다.

전주시는 이 같은 용역안을 기본으로 학술세미나를 전개할 예정이며 건축규모나 사업방향에 대한 시민과 전문가 여론수렴을 거쳐 최종 사업계획을 마무리할 방침이다.

11월 중에는 옛 도청사 활용방안에 대한 토론회도 실시할 예정이다.

/한민희기자 mh001@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