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난을 겪고 있는 도내 건설업계가 정부의 구체적인 유동성 지원 시기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부동산 경기 활성화 등 근본 문제 해결에는 다소 부족하지만, 급한 대로 기업의 목줄을 죄고 있는 자금압박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다.

업계는 통상적인 정책 집행과정으로 볼 때 직접적인 체감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최소 2개월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3일 도내 건설업계에 따르면 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 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금융시장의 악재까지 잇따르면서 지역 중소 건설업체의 경영난이 심화되고 있다.

업체 대부분이 불투명한 경기 전망으로 올해 신규 사업계획을 대대적으로 중단 또는 연기했지만 여전히 자금난의 고리를 끊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최근에는 시중은행에 이어 제2금융권인 저축은행 등도 자기자본 비율을 위해 기업 대출에 신중을 기하면서 자금 줄이 마르고 있다.

전주지역 A건설업체는 “현금 유동성을 강화하기 위해 나름대로 자산 정리 등 대책을 강구했지만, 부동산 경기가 전반적으로 침체돼 있어 여의치가 않았다”며 “정부가 이번 대책을 통해 토지 등 기업 부동산을 매입한다기에 기대를 걸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업계는 정부가 무턱대고 건설업체의 토지와 미분양 아파트를 사들이겠다는 계획은 아니어서 선결조건으로 제시한 가격 인하와 자구책 마련 등을 두고 상호 눈치 경쟁을 펴고 있다.

매입 희망가격의 경우 자금난이 시급하긴 하나 너무 적게 써 넣을 수도 또는 너무 높게 써 넣을 수도 없는 입장이다.

저가로 써 넣게 되면 타 업체에 비해 빠른 지원이 가능하지만 기업의 입자에서 손실은 불가피하다.

고가의 경우는 지원 순위에서 밀려 적절한 자금 유동성 확보 시기를 놓칠 수도 있다.

도내 한 중견 주택업체는 “현재 정부의 지방 미분양 주택 매입 상황을 예의주시 하고 있다”며 “매입 희망가격을 적게 써 제출한 업체부터 적용한다고 해서 업계간 동향을 매일 체크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루라도 빨리 자금압박에서 벗어나야 하지만, 업체마다 각기 처한 상황이 달라 손익계산만 분주한 형국이다.

건설협회 관계자는 “8월 발표된 대한주택보증의 미분양 아파트 매입 정책도 내달께나 첫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며 “대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절차와 규정을 보다 신속하게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손성준기자 ssj@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