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기업의 저품질 비용이 매출액 기준, 20~30%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조달청이 밝힌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기업이 만드는 제품 중 저품질비용 품질불량에 따른 사회적 손실비용(예방비용+평가비용+실패비용)이 일본보다 무려 2~3배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실제 우리나라 기업의 평균불합격률은 6.68%로 저품질비용은 매출액의 20~30%에 달했다.

이를 총매출액 대비 저품질비용으로 환산해 보면 807조원 중160조원에 이르는 금액이다.

지난 2005년도 기준으로 중소 기업 총매출액 420조원 가운데 무려 84조원어치의 물품이 '불량제품'으로 불합격 판정을 받은 셈이다.

이 같은 통계는 서울대학교 통계연구소가 지난 2006년 12월 발표한 것으로 이웃나라인 일본기업 수준(저품질비용이 매출액의 약 12%)과 비교해 볼 때 2~3배에 달하는 수치다.

이에 따라 조달청은 품질향상을 위한 다각적인 대책마련에 나서, 우선적으로 정부조달물품의 불합격율을 낮추는데 주력하기로 했다.

지난 2007년 5월 발족된 품질관리단을 중심으로 꾸준한 노력을 벌인 결과, 지난해 샘플링 점검 평균 불합격률이 7.8%로 낮아진 것을 비롯, 올 1/4분기 불합격률도1%대로 현저히 감소했다.

이처럼 불량률을 낮출 경우 지난해말 기준대비 연간 1조2000억원~2조7000억원의 사회적 손실(예산)절감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뉴시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