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500여 곳의 편의점에서 연간 1천억 원대의 자금이 외지로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막대한 자금이 역외 유출되고 있지만 도내 산품 이용률은 전무한 실정이다.

17일 도내 편의점 업계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1월말 현재 전북지역 편의점 수는 453개로 2008년도의 385개 보다 17.6%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올해 말까지 50여개점이 추가로 개점될 예정이어서 편의점 수는 총 500여개에 이를 전망이다.

도내 14개 시·군마다 평균 35여개의 편의점이 들어서고 있는 셈이다.

이 같은 현상은 편의점 본사의 적극적 마케팅과 경기불황으로 큰 자금이나 경험 없이 점포 운영이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편의점을 경영해보려는 희망자들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편의점 매출은 위치 등에 따라 다르지만 하루 평균 100만~150만원선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하루 매출액을 편의상 100만원으로 볼 경우 한달 매출액은 3천만원이다.

해당 편의점이 순수가맹점일 경우 매출이익의 35%는 본사 몫이 되고 남은 금액 가운데 편의점에서 사용하는 영수증 용지대(1일 2만원)와 삼각김밥 등 당일 폐기 처분해야 하는 식품에 대한 물품폐기대금(1일 1만원) 등은 본사로 보내고 있다.

이를 모두 계산하면 한달 매출 중 85.4%는 지역에서 한푼도 회전되지 못하고 매달 편의점 본사로 빠져나가고 있는 것. 또 이같은 매출에 대한 세금도 결국 본사가 있는 서울시 등에 일괄 납부되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편의점주가 받는 한달 436만이 건물임대료, 아르바이트생 비용, 전기세(본사 50%부담), 각종 세금 등이 지역에서 회전되고 있는 것. 편의점 매출액은 매일 본사로 전액 송금되고 매달 1회 매출비용 등을 계산해 일정 비율만을 편의점 경영주가 월급 형태로 지급받고 있다.

구조가 이렇다 보니 지역에서 편의점의 자금이 회전될 기회 조차 없는 실정이다.

이처럼 편의점들을 통한 자금 역외유출 문제는 결국 편의점 본사 차원에서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대형유통점의 경우 그나마 지역에서 각종 행사를 지원하거나 불우이웃돕기 등의 생색내기 이벤트라도 개최하고 있다.

편의점업계 관계자는 “로열티나 매일 매출액을 입금해야 하는 편의점의 불공정약관으로 인해 지역자금이 더 빠져나가는 것”이라며 “불공정계약부분이 먼저 개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대연기자 eodus@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