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의회 교육위원회 정상화를 위해 교육의원들이 상임위원회 활동에 하루 빨리 복귀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교육의원들 역시 도의회 일원으로서 교육위원회 상임위원장 감투 때문에 상임위 활동을 거부하는 것은 명분이 약하다는 목소리다.

더욱이 도의회 본회의 석상에서 참석 의원 만장일치로 교육위원장이 선출된 만큼 이를 존중하고 차기에 도전하는 성숙된 정치의식을 보여줘야 한다는 여론도 비등하다.

도의회 교육위원회는 19일 도 교육청에서 제출한 행정기구개편 등에 관한 조례 안을 심사키로 했지만 9명의 교육위원 중 과반수를 차지하는 교육의원들이 전원 참석하지 않아 상임위 회의 진행이 이뤄지지 못했다.

앞서 이상현 위원장과 조형철 의원 등은 교육의원들을 만나 상임위 참석을 종용했지만 교육의원들은 상임위원장 자리만 요구하며 끝내 참석하지 않았다.

결국 교육위원회는 도 교육청 관련 조례 안에 대한 제안설명과 업무보고 등을 오는 21일로 연기했다.

교육위원회 소속 도의원들이 교육의원들을 설득, 이들과 함께 상임위 활동을 하자는 데 의견을 모은 것이다.

교육위는 이번 임시회 기간 하반기 도 교육청 실·국별 업무청취와 11개 직속기관 업무청취, 도 교육공무원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 수수료 징수조례 일부개정조례안 등 30건을 심의해야 한다.

또 도내 14개 지역 교육청에 대한 현안업무 보고도 계획돼 있다.

특히 조례 안에는 김승환 교육감 체제의 첫 조직개편안도 담겼다.

이처럼 교육위원회가 처리해야 할 현안이 산적했는데도 교육의원들이 교육행정 보다 상임위원장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상임위 활동을 내팽개치는 것은 명분이 약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교육의원의 본분보다 감투에 혈안이 돼 있는 것처럼 비쳐지기 때문이다.

이에 이미 도의회 본회의를 통과한 만큼 후반기 상임위원장 자리 등을 보장 받는 형식의 절충점을 찾아 시급한 교육현안에 대한 꼼꼼한 심사를 통해 교육계는 물론 학생과 학부모로부터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더욱이 교육의원은 전문성만 강조하고 정치력은 부족하다는 시선이 나오는 상황에서 민주당 원내대표와의 정치적 합의점을 어떻게 찾아 교육위원회 파행사태를 최소화 하느냐가 첫 시험무대라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교육의원들이 자신들이 주장하는 상임위원장 자리만을 꿰차기 위해 교육현안을 계속해서 방치할지, 정치적 협상을 통해 원활한 상임위 활동을 펼칠지 주목된다.

한편 도의회 교섭단체 희망전북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상임위원장 자리를 요구했다.

/최규호기자 hoho@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