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부 협의회를 통해 교원평가제에 대한 각계의 다양한 의견이 개진돼 앞으로 제도 개선이 주목된다.

교원능력개발평가 개선을 위한 첫번째 여론 수렴 협의회가 5일 전북도교육청에서 열린 가운데 이날 행사에 참석한 광주와 전남, 전북 등 호남지역 교육청과 교원단체, 학부모, 교사 등 32명은 다양한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기하는 등 ‘격론’을 벌였다.

이날 참석자들의 제안은 대체로 학부모들의 참여율 제고 방안, 평가 문항의 이해도 제고, 학교 환경에 맞는 평가 방법 도출, 평가의 법적 근거 마련 등으로 요약된다.

전주의 A중학교 교사는 "학부모는 여러 교사들을 알지도 못해 참여율이 매우 낮다"면서 "교사들이 평가 업무 때문에 수업에 열중할 수 없으며, 일부에서는 명예퇴직을 고려하는 교사까지 나오고 있어 현재의 모형을 개선하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남의 A초등학교 교사는 "시골학교에서는 조손가정도 많고, 학생수가 10명 내외인 경우도 많이 있는데 이들 학교에서 교원평가를 한다는 것은 사실상 무리"라며 "불가피하게 평가를 해야 한다면 학생과 학부모들이 쉽게 평가 문항을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바꾸고, 평가 분량도 대폭 줄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학부모들도 교원평가에 대해 적지 않은 불만을 쏟아냈다.

전주의 한 학부모는 "일부 학생들이 교사를 감정적으로 평가하고, 이로 인해 상처받은 교사들이 아이들을 건강하게 지도할 수 있을까 염려 된다"면서 "부적격 교사를 찾아내 공교육의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중요한 만큼, 학부모회의 결정을 법제화해서 부적격교사에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읍의 한 학부모는 "공개수업의 학부모 참여가 저조하고, 학부모가 알 수 없는 평가 항목도 너무 많다"면서 "효과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학부모의 평가 참여를 보다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교원단체 대표인 전북교총 관계자는 "교원평가 개발이 이화여대 등 일부 대학 교수들에게 편중됐고, 그 기간도 3개월 정도로 매우 짧아 전면적 재수정이 불가피하다"고 질타했다.

그는 또 "지역과 학력 등 여러 가지 여건을 무시하고 추진한 평가는 출발부터 문제가 있다"면서 "모형 자체가 대도시 중심으로 돼 있는 상황에서 제대로 된 평가는 어렵다"고 말했다.

시·도교육청에서도 다양한 개선 의견이 도출됐다.

전북도교육청의 B장학사는 "교과부는 교원평가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지 못하고 이를 추진하고 있다"면서 "평가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면 법적 근거를 하루 빨리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시·도교육감에게 평가 방식 결정을 위임해 적절한 평가 방법을 만들도록 하고, 학부모평가는 수업공개 때 의견을 주는 방식으로 바꿔야 할 것"이라며 "동료교원평가 방식은 교원능력의 개발을 위해 연수를 강화해야 하고, 전공 교과에 대한 수업 능력 향상을 위해 연수 참여를 위한 지원을 강화하는 것이 교과부에서 해야 할 일"이라고 말했다.

교과부는 교원평가제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전면 시행 과정 중 나타난 문제점을 개선하고 지방교육자치제의 취지를 높이기 위해 협의회를 호남권이 이어 17일 영남권, 24일 충청권, 31일 수도권에서 개최할 계획이다.

한편 전교조는 이날 "이번 협의회는 교과부가 2010년도 교원평가 모형을 강행하려는 '시간 끌기' 의도"라며 참석을 거부했다.

/강찬구기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