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프라이스 제도 새행 두달… 동네슈퍼-대형마트 가격 천차만별

‘오픈 프라이스’ 제도가 시행된 지 두 달이 지났지만, 여전히 소비자와 유통업자 간 혼란이 지속되고 있어 그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2일 도내 유통업체와 소비자들에 따르면 지식경제부가 지난 7월 1일 가격경쟁을 통해 소비자들이 가격인하 효과를 누릴 수 있게 하겠다는 취지에서 시작된 오픈프라이스는 권장소비자 가격을 없애는 대신 최종 판매업자가 판매가를 정하는 제도다.

하지만 정부가 당초 기대했던 것과는 달리 여러 곳에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우선 소비자들의 혼란이다.

시행 두 달이 됐어도 판매점마다 가격이 천차만별인데다 가격에 대한 기준이 없다는 것. 이날 전주시 효자동의 한 대형마트에서 만난 주부 박모씨(35)는 “대형마트나 집 근처 마트에서 권장소비자가격 대신 실제 가격을 표시하고 있는데 종전보다 저렴해진 제품은 찾아보기 힘들다”며 “과연 이 제도가 소비자를 위한 제도인지 의구심이 간다”고 말했다.

실제 한국소비자원이 운영하는 ‘티프라이스’에 공시된 상품을 비교해 보면 서민들이 많이 찾는 라면과 과자 값은 오픈프라이스 제도가 시행되기 이전보다 가격이 더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보다 더 큰 문제는 거주지역 인근에 가게가 많지 않다면 오히려 더 높은 가격에 구입할 수 없다는 맹점도 드러났다.

현재 이 문제에 대해서는 아무런 대책도 세우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당초 도입 목적인 안정적인 유통가격 정책에 따른 소비자와 영세유통업자, 제조업체간의 ‘윈윈’도 지금으로서는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실제 전주 삼천동의 한 동네슈퍼에서는 A사의 모제품을 1천원에 판매하고 있지만 이곳과 200여m 떨어진 대형마트에는 같은 제품을 500원에 팔고 있었다.

결국 규모가 작은 동네슈퍼들만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놓인 것. 슈퍼마켓 주인 김모씨는 “가격 비교 자체가 되지 않으니 손님들 중 ‘불신’을 갖는 사람들이 늘어났다”며 “도대체 누구를 위한 정책인지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이처럼 오픈프라이스 제도가 정착되지 못해 혼선을 빚는 이유는 또 있다.

바로 홍보부족이다.

시행부처와 지자체들의 구체적인 관련 지침이 전달되지 않고 있고, 시행 초기 판매업자들에 대한 교육 및 점검을 통해 정착을 유도해야 하지만 ‘나몰라’식이 되다 보니 혼란은 가중 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전북도 관계자는 “이 제도가 원래의 취지대로 효과를 얻으려면 부작용을 예방하려는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며 “정기적으로 시장의 가격동향을 조사하고 이를 공개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중소 소매점들에 대형 유통업체들의 가격을 알려줘 적정한 가격책정에 도움이 되도록 개선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대연기자 eodus@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