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신용위험 정기 평가 확정시기가 다가오면서 건설업계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은행들은 부실징후기업을  공표하지 않는 등 구조조정을 조용히 추진한다는 방침이지만 건설업계는 구조조정 명단이 언론을 통해 중구난방식으로 공개돼 되레 혼란을 키우지 않을까 불안해하고 있다.

20일 도내 건설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이달 말이나 늦어도 내달 초에 주채권은행이 부실징후기업을 선정해 개별기업에 통보할 예정이다.

주채권은행은 4~6월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 기업에 대한 영업위험 재무위험 등 신용위험 평가를 실시해 워크아웃(C등급)과 법정관리(D등급) 기업을 솎아낸다.

일례로 산업은행은 올해 건설 조선 해운 등의 18개사 신용위험평가를 완료, 6개사를 구조조정대상에 선정했다.

올해부터 새로운 기업구조조정촉진법(기촉법)을 적용하면서 지난해와 같은 구조조정 기업 수 발표를 할수 없다는 게 금융당국의 설명이다.

새 기촉법에 따르면 채권은행은 해당 기업에 부실징후기업 선정 사실을 통보한 뒤 그 기업의 신청을 받아야만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 추진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대상 기업이 독자 생존할 수 있으면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를 신청하지 않아도 된다.

‘부실징후기업 선정=C,D등급’이었던 과거 기촉법과 달라진 점이다.

신용위험평가만 갖고 은행이 일방적으로 발표할 수 없는 이유다.

그러나 건설업계의 불안은 좀체 가시지 않는다.

프로젝트파이낸싱(PF)대란과 맞물려 경영난 기업들에 대한 블랙리스트가 여전히 나돌고 있다.

부실업체를 3년 동안 걸러냈지만 쓰러지는 업체는 이어지고 있어서다.

건설경기가 살아나지 않는다면 추가 부실우려 건설사는 지속적으로 나올 수 밖에 없는 구조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은행들이 공표하지 않아도 개별 은행들의 구조조정기업 통보 명단이 언론을 통해 알려질 수 있다”면서 “올해에는 기업의 워크아웃 신청 절차가 추가되는 등 구조조정 절차가 복잡해지면서 부실과 정상기업을 막론하고 혼란이 더 가중되지 않을 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이종호기자leejh7296@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