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실과 진안, 무주, 고창 등 농촌지역 대부분 분만실이 없어 산모 불편이 매년 되풀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내 산부인과 중 분만실이 갖춰진 곳은 10곳 중 3곳에 불과하지만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다.

보건복지가족부가 발표한 ‘2011년 요양기관 종별 분만실 설치 기관 현황’ 자료에 따르면 도내 산부인과 중 분만실을 갖춘 비율은 32.57%로 조사됐다.

도내 분만실을 갖춘 요양기관은 지난해 종합전문 2곳과 종합병원 4곳, 병·의원 37곳 등 43곳으로 나타났다.

산부인과 10곳 중 7곳은 분만실이 없는 셈이다.

분만실 설치율만 보면 울산(32.80%)에 이어 전국 16개 시·도 중 7번째 수준으로 중위권에 포함됐다.

그러나 도내는 지역에 따라 편차가 심해 산모 출산을 위한 분만실 의료사각 지대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다문화가정이 크게 증가하면서 출산율도 늘고 있지만 농촌지역 대부분 산부인과가 없는 곳이 많고, 있다 해도 분만실을 갖춘 곳이 없어 산모들의 큰 불편이 뒤따르고 있다.

실제 순창과 고창, 완주, 임실, 장수, 진안군 등 농촌지역 6곳은 분만실이 아예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분만실이 없는 지자체 수로 보면 경남(8곳)과 경북(7곳)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 수준이며, 이들 지역은 모두 농촌지역이란 점이 공통점이다.

이들 6개 지역 인구는 모두 25만6천여 명으로,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산모들은 아이를 낳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분만실이 있는 도시지역으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하고 있다.

반면 전주 및 익산 등 도시권은 분만실을 갖춘 병의원이 집중되고 있다.

전주와 익산시만 28곳으로 분만실을 갖춘 도내 요양기관 전체의 65.1%를 차지하고 있다.

이어 군산(5곳), 남원 및 정읍이 각 3곳으로 뒤를 이었다.

이에 산모들이 적기에 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불편함을 넘어 응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생명의 위험까지 감수해야 한다는 점에서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이 같은 의료 현실은 출산가능인구를 도시로 이동시키는 악순환을 만들고, 급기야 출산을 포기하도록 유도할 수 있어 개선여론이 높다.

보건복지부는 “농촌지역의 산모 감소는 결국 저출산 배경이 되고 있다”며 “찾아가는 산부인과 서비스 등 자치단체의 분만취약지 지원사업을 다양하게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승갑기자 pepeyoon@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