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은행의 과도한 몸집불리기에 금융당국이 제동을 걸고 나섰다. 자본 건전성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외부 충격에 따른 부실화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에서다.

25일 전북은행 및 금융당국에 따르면 최근 금융감독원은 전북은행을 비롯한 부산·경남·대구·광주·제주은행 등 6곳의 지방은행장을 불러 서울 등 수도권 지역에서 과도한 영업점포 확대 경쟁을 하지 말라고 주문했다.

전북은행의 외형이 최근 급격히 커졌지만 내실은 다지지 못한 것으로 금융당국은 판단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 전북은행의 점포 수는 10월 말 현재 92개로 올해 공격적 경영을 통해 서울(5개)과 대전(3개) 등 수도권 지역에 집중 개설하면서 지난해 말(84개)에 비해 8개나 증가했다.

이에 총 자산도 지난해 9월 말 10조5천96억원에서 올해 9월 말 현재 11조4천105억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반면 3개월 이상 연체돼 부실 가능성이 높은 고정이하(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여신은 지난해 6월 말 563억900만원에서 올해 6월 말 1천29억2천100만원으로 34%나 급증했다.

고정이하여신은 채권 회수에 위험이 있거나 손실처리가 불가피해 부실채권으로 간주된다. 특히 최근에도 웅진홀딩스와 극동건설의 법정관리 신청 여파로 150억원대의 손실을 봤다. 이에 여신건전성을 나타내는 고정이하 여신비율은 지난해 6월말 0.90%에서 올해 6월 말 1.39%로 높아졌다. 고정이하 여신비율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여신건전성이 나쁘다는 의미다.

또한 자본적정성을 나타내는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지난 2009년 14.13%를 기록한 뒤 2010년 13.44%, 2011년 12.77%, 2012년 6월 말 11.70%로 하락했다. 시중은행(14.35%)과 비교하면 훨씬 낮은 수준이다.

특히 은행의 실질 자본 건전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BIS 비율에서 보완자본을 제외하고 산출한 기본자기자본비율은 올해 6월 말 현재 7.67%로 금융당국이 요구하는 8.5%에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앞서 무디스는 지난 3월 전북은행의 자기자본비율이 7.5% 이하로 떨어질 경우, 추가적인 등급하향도 고려하겠다고 경고한 바 있다. 이에 전북은행은 올해 말까지 개점 계획인 5개 점포(대전2개, 인천1개, 서울 1개)를 전면 백지화한 상태다.

전북은행 관계자는 “어느 정도 몸집을 불리지 않고선 지방은행들의 경쟁에서 밀리기 때문에 공격적인 영업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며 “외형적으로 봤을 때 수치가 낮아졌을 뿐 금융당국이 요구하는 자본 확충 등 위기 상황에 대비해 전혀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김대연기자 eodus@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