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가 장기적으로 발전하는 데 있어 민간의 역할은 크다. 각계 전문가들이 참여함으로써 시야가 넓은 도시 발전계획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전주시 또한 전통문화도시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민간의 역할이 중요하다.

민간의 참여로 관과 민간이 함께 하는 도시 발전이 가능하며, 주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기도 용이하다. 전주시의회 김남규의원이 최근 전통문화도시 관련 포럼에서 민간 거버넌스를 강조한 것은 일리가 있다.

행정이 주도하는 형태로는 한계가 있다. 예산이 수반되는 일이라 행정이 주도권을 가질 수밖에 없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민간을 최대한 참여시킴으로써 보다 내실 있는 도시 발전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김의원은 전주시의 전통문화도시 조성이 관 주도로 추진되면서 건물이나 경관 등 외관에만 치우친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다양한 문화콘텐츠가 개발되지 않았고, 한옥마을이 구도심과도 유리돼 있다는 것이다.

행정이 일방적으로 끌고 가면서 매너리즘에 빠졌다는 얘기다. 이 과정에서 문화 인력 양성도 소홀해지고, 문화 산업화는 더욱 지체됐다고 한다.

전주시는 지난 2007년부터 전통문화도시 조성사업에 예산을 집중해 전주한옥마을이라는 지역적 브랜드, 한스타일 특구, 음식창의도시, 슬로 시티 등 많은 성과를 거뒀다.

한옥마을에 관광객이 몰리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되고 있다. 이제 한차원 도약해야 하는 단계에 이른 것이다. 김의원의 “문화라는 것은 사람이 중심이 돼야 하는데 사업 위주로 이뤄지다 보니 문화도시를 추구하는 시의 정책이 한계에 봉착했다.

다양한 문화콘텐츠가 개발돼야 도시간 네트워크를 조성할 수 있다.”는 지적을 전주시는 새겨들어야 한다. 관과 민간이 보조를 맞추고, 외형적 개발과 문화 콘텐츠가 결합할 때 전주 전통문화도시는 더욱 빛나게 된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