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이 활발해지고 있는 가운데 귀농인 유입 보다는 정착 기반 조성에 비중을 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구체적인 준비 없이 농촌으로 내려왔다가 정착하기까지 어려움이 많고, 되돌아가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특화 원예작물 재배를 위한 장기적인 교육과 자금 지원 등 정착 기반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전북도가 밝힌 바로는 올들어 상반기에만 1천942세대(3천909명)가 도내로 귀농·귀촌한 것으로 드러났다.

올해 귀농·귀촌 목표를 당초 3천500세대로 잡았으나 훨씬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지난해에는 2천553세대가 도내로 이주했고, 지난 2011년에는 1천247세대가 전북을 택했다.

도내 귀농·귀촌 가구의 80%정도는 경제 활동이 가능한 인구라고 한다. 베이비부머 시대에 태어난 40-50대가 60%에 육박하고, 20-30대 청년층도 20%정도를 점유한다는 것이다. 나머지는 직장에서 퇴임해 농촌에 정착한 경우라고 볼 수 있다.

경제활동이 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들은 농업 경제활동에 참여하기를 바라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이들 가운데 30%정도가 농촌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다시 도시로 돌아간다는 것이다. 뚜렷한 목적의식이나 각오 없이 농촌에 들어왔다가 실패한 경우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밝힌 바로는 귀농시 가장 큰 애로사항이 영농기반 마련과 사업 자금 조달이라고 한다. 많은 귀농인이 특화작목 재배를 원하고 있으나 뒤따르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귀농인을 위한 사전 현장실습 교육과 농림수산발전기금의 적극적인 융자 등이 필요한 상황이다. 귀농인들이 사전에 1~2년 간 거주하면서 농업을 체험할 수 있는 사전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귀농 정착률을 높이기 위한 단계별 교육과 체계적인 지원 등 정착 기반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