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기업은 공익적 개념의 사업체다.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면서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사회적 목적을 추구한다.

‘착한 기업, 아름다운 소비’를 주제로 한 사회적 기업 판촉기획전이 최근 전주에서 열렸다. 사회적 기업을 홍보하고, 소비자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행사다.

도내에는 현재 고용노동부가 인증한 사회적 기업 60곳과 고용노동부 인증에 앞서 도가 육성하고 있는 예비 사회적 기업 65곳 등 총 125개 사회적 기업이 가동되고 있다.

2017년까지 해마다 20개씩 늘려간다는 계획이며, 정부는 2017년까지 3천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사회적 기업이 정착하게 되면 기업의 공공성과 취약 계층의 일자리 창출 등 순기능을 하게 된다.

사회적 기업은 기업 유형에 따라 일자리 제공형과 사회 서비스 제공형, 혼합형 등이 있다.

일자리 제공형은 근로자의 30%를 취약계층으로 고용하면 인건비를 지원하고, 사회서비스 제공형은 수혜대상자의 30%가 취약계층이면 3년간 지원금을 준다.

이같은 취지에 부합되는 기업을 육성하는 것이 관건이다. 사회적 기업이 팽창하면서 불안감도 적지 않다.

정부와 지자체가 성과 위주로 사회적 기업 참여를 확대하면서 대상 기업에 대한 철저한 점검이 부실해지고, 결국 공멸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사회적 기업에 정부 지원이 집중되면서 일부 업체는 지원금을 목적으로 사회적 기업에 참여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일부 기업에 국한되지만 지원금을 노린 부실기업도 있다고 한다. 또 자격 요건만 갖춘 채 사회적 기업으로 선정된 뒤 경영을 소홀히 하는 기업도 있다고 한다.

사회적 기업은 앞으로도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정착 기반을 다져야 건실한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참여 기업 확대 못지않게 건실하게 육성하고, 일자리의 질적 내실을 기하는 것도 소홀히 할 수 없는 문제다.
//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