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페기물연구용역 재실시 쓰레기 관련 지출 원일불명

전주시의 쓰레기 관련 안일한 행정이 도마 위에 올랐다.

시는 지난 27일 시의회 복지환경위에서 생활쓰레기 수거체계 선정 용역 간담회를 진행했지만 체계적이지 못하고 안일한 행정에 대한 의원들의 강한 질타가 쏟아졌다.

의원들은 시가 1억원을 들여 생활폐기물연구용역을 재실시하는 것에 이해할 수 없는 처사라며, 지난해 9월 실시했던 ‘생활폐기물 수집운반과 가로청소 원가산정 적정성 검토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시의회와 유기적 협조체제 구축을 강조했다.

송상준 의원은 “시에서 음식물수거와 관련된 모든 시설을 투자하고도 위탁업체에게 보조금을 못 줘 안달 난 것 같다”며 “쓰레기 정책에 대해 예산절감을 비롯한 총체적 해결방안을 제시하라”고 지적했고 김도형 의원은 “지난 4년 동안 쓰레기 관련 지출비용이 100억원이 상승했다.

하지만 왜 올랐는지 파악도 못하고, 문제가 무엇인지 개선방안과 진행절차가 무엇인지 정확한 실태파악이 돼야 하는데 해당부서는 잘 모르는 것 같다”고 주장했다.

선정진 의원도 “전주의 한 해 청소비가 간접비용을 포함해 얼마인 지 아는 직원이 한 명도 없다.

전주시의 청소행정을 총괄하는 부서가 심각할 정도로 아는 게 없다”며 “수거체계 뿐 아니라 전반적인 체계를 다시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수거차량 RFID 관리 시스템(수거용기엔 전자태그가 부착, 운반차량은 전자저울이 장착돼 수거와 관련된 중앙관제가 가능한 무선 주파수 인식 기술)의 비정상운영도 결국 시의회가 직접 나서 분석하는 것으로 결론 났다.

선 의원은 “보고서를 보니 RFID 관리 시스템은 차량 근무일자, 운행일자 등을 통해 차량별 운행원가가 기록돼 있는 훌륭한 시스템이다”며 “하지만 지난 RFID 관리 시스템 기록물을 보니 운행시간이 앞뒤가 맞지 않고 전체 차량 중 절반만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적 차량운행을 위한 철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영식 의원은 “차량이용 통계분석을 할 의사가 없다면 시의회차원에서 운행실태 등을 분석하겠다”며 지난 2009년부터 작년까지 RFID 관리 시스템 자료를 요구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는 전주시 종합리싸이클링타운 주민지원협의체 구성안도 논의됐다.

의회는 ‘전주시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촉진, 운영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조례’ 제9조에 의거해 장동, 안산, 삼산 마을 각각 주민대표 3명을 추천하고 이들 주민대표가 추천한 전문가 2명을 포함키로 했다.

또한 지원협의체가 겸임여지가 있는 주민감시요원은 분리 운영키로 했다.

/조석창기자 jsc@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