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각 교육지원청에는 세월호 참사로 소중한 목숨을 잃은 학생과 선생님들의 명복을 비는 분양소가 설치되어 있다.

도교육청과 각 지원청을 합하면 15곳에 분양소가 설치되어 참배객을 맞고 있는 셈이다. 이렇게 각 지원청이 나서 분양소를 설치하고 참배객을 맞이하게 된 것은 현 교육감의 의지가 그대로 드러난 것 같다.

보도에 따르면 김승환 교육감은 ‘4월 16일을 비명에 간 우리 학생과 선생님들의 영혼을 추념하는 날로 삼겠다’고 말했고, ‘4.16 세월호 참사 희생자 추모에 대한 규칙을 마련토록 주무부서에 지시했다’고 한다.

비명에 간 어린 학생들과 학생들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자기 목숨을 버린 훌륭하신 선생님들의 위대한 정신을 기리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나 각 교육지역청마다 분양소를 설치하고 학생과 교직원을 따로 받는 것은 문제가 있다.

어느 지역의 경우 500m 정도의 짧은 거리 내에 군청에서 마련한 분양소가 있는데 교육지원청의 분양소가 또 설치됨으로써 주민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인구도 많지 않고 애도기간도 짧지 않은 데 두 곳에 분양소가 설치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분양소 설치에 들어가는 비용을 차라리 세월호 참사 위로금으로 내놓았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은 분도 있다.

전북의 전 교육지원청에 분양소가 일률적으로 설치되는 보면서 비자율적인 획일 정책이 가져온 폐해의 한 단면을 본다. 교육은 현장에 맡겨야 한다. 현장의 실정에 맞게 현장에서 결정하도록 자율과 책임을 부여해야 한다.

/김근태기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