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길 브레이크뉴스 전북본부 편집인

전북도가 요구한 예산이 통과 됐다는 낭보가 들린다.

더구나 그 어느 해  보다 예산심의가 엄격해지고 신규 사업 을 최대한 억제한 방침 속에서 얻어 낸 결과여서 더욱 고무적이 아닐 수 없다.

영업 중에서 자동차, 약, 보험영업이 가장 어렵다고들 한다.

그만큼 예산 따내기도 모든 영업만큼이나  만만치 않다.

지역구예산전쟁은 4단계로 이뤄진다는 게 통설이다.

1단계는 매년6월이 되기 전 까지다.

기획재정부 예산실은 각 부처로부터 예산기획안을 접수하고 이때까지 어떻게 하든 지역구사업을 끼워 넣어야 한다.

나중은 없다.

2단계는 매년 8월말 까지다.

청와대가 장기예산 전략에 비춰 가편성 안을 검토하는 동시에 각 부처의 의견을 수렴 조정한다.

여·야 가릴 것 없이 지역구예산이 누락 되지 않도록 치열하게 로비한다.

3단계는 매년 11월말까지 국회로 넘어 온 예산을 각 상임위와 예결특위에서 심의한다.

국회의원들끼리 영업(?)하는 가장 어렵다.

지역예산에 관련된 의원들에게 수시로 문안인사를 드리고 작은 정성을 표하는데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

4단계는 매년 12월 어느 시점까지다.

국회예결특위 내 계수조정소위에서 최종수치를 조정한다.

졸면 죽는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긴장의 연속이다.

보좌관을 24시간 대기시킨다.

유사시 회의장으로 출동, 읍소작전은 물론 배 째라 식 협박도 서슴지 않는다.

예전에는 국회의원들이 장관을 상대로 설득과 압박을 통해 지역구예산을 관철하는데 탑다운 방식을 주로 사용 했었다.

요즘에는 어림도 없다.

바텀 업 방식으로 장기간에 걸쳐 마케팅을 한다.

전북도가  마음먹은 대로 내년도 예산을 확보하게 된 배경에는 도지사를 비롯한 전북도 관계자들이 서울에 똬리를 틀고 장기간에 걸쳐 바텀 업 방식으로 예산확보를 위한 영업을 해온 결과다.

그동안 우리는 전북의 국회의원들에게 실망을 많이 했었다.

예산 국회가 끝나면 광주와 전남의 몇몇의 국회의원은 언론에 거명이 될 정도로 예산공신(?)이 된다.

같이 친 고스톱 판에서 전북은 기본 3점으로 겨우 났고 광주와 전남은 10점으로 난 것이나 다름없을 정도로 곳간을 가득 채웠다.

예산 증액뿐만이 아니다.

해마다 문지방 예산에 끼워 넣어 관성적으로 예산을 계속 받아 낸다.

올해도 역시 자기지역 예산 챙긴 몇몇의 국회의원들이 신문을 탔다.

그러든 말든 명단에 오른 국회의원들의 얼굴에는 웃음꽃이 핀다.

아마도 그들의 지역구에는 축하 플래카드까지 나붙지 않을까 싶다.

‘형님 예산’이라는 비난을 감수 하고서라도 예산을 많이 확보해야 한다.

중앙에서 동네로 예산을 따내지 못하면 제대로 평가 받을 수가 없다.

좋든 싫든 이것이 현실이다.

지금까지 합리적인 상식에 비춰 봐도 전북의 예산은 항상 미흡했었다.

현실과 예산사이의 고리는 늘 상 헐겁고 논리에는 구멍이 숭숭 뚫려 있었고 판단은 자의적으로 오락가락 해석이 돼 왔었다.

전북 사람들은 묻히고 배제된 이야기들이 목소리 얻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그 앞장에 있어야 할 사람들이 전북의 국회의원들이다.

쪽지 예산이 난무하고 그래서 불요불급한 곳으로 세금이 새나간다고 비난이 쏟아진다 하더라도 앞으로는 우리고장에서 요구한 금액에 더는 아니더라도 요구한 금액만이라도 깎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우선이 돼야 한다.

그 중심a에 전북의 정치권이 중심에 서 움직여 줘야한다.

이제 전북도와 우리 지역 국회의원들로 해서 마음먹은 대로 내년도 전북의 살림을 꾸릴 수가 있게 됐다.

그렇다 하더라도 방심하지 말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