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 생산성 향상 노동력 절감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 국립축산과학원은 올해부터 ‘가축 생산성 30% 향상, 노동력 25% 절감, 스마트팜 농가 보급률 30% 이상’을 목표로 한국형 축산스마트팜 개발에 나선다고 28일 밝혔다.

축산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이하 ICT)은 원예 등 다른 농업분야와 달리 각각의 ‘개체관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사육단계별 사육환경을 점검하고 가장 알맞게 관리함으로써 질병 차단과 생산성 향상 뿐 아니라 동물복지에도 부합한다.

현재 개별 ICT 장치는 국산제품이 개발‧판매되고 있으나 각각의 장치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은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또 생체정보 바탕의 거대자료(빅데이터)를 이용해 가축을 관리하는 장치들은 외국에 비해 시작 단계에 불과한 단계다.

이에 국립축산과학원은 △스마트팜 모델 개발 △축사시설과 환경제어기술개발 △빅데이터 활용기술 개발 등 3가지 과제를 3단계로 나눠 2025년까지 추진할 계획이다.

현재 과학원은 축산 스마트팜 보급·확산을 위해 ICT를 활용한 스마트 축사 모델을 마련하고 축종별 현장 실증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먼저 한우와 젖소는 성장과 질병에 초점을 맞춰 진행하고 있다.

송아지에게 젖을 먹여주는 포유(젖먹이)로봇과 RFID 인식을 통해 각 개체별로 필요한 양의 사료를 먹이는 사료 자동급이기를 통해 송아지 육성률과 어미소의 신체충실도를 높일 수 있다.

양돈 ICT는 동물복지 측면에서 유리하다.

임신한 어미돼지를 자유롭게 풀어 기르는 군사사육은 어미 운동량이 늘어 다리 건강이 좋아지고 난산 없이 분만을 할 수 있다.

특히 스톨(단칸우리)에서 벗어나 동물복지에도 적합하다.

산란계, 육계는 사양관리 특성상 개체별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온도, 습도, 유해가스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환경제어와 사료, 음수량 측정 등 경영관리를 극대화시키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과학원은 축종별 ICT를 접목한 스마트 축사 모델개발과 동시에 가축의 행동, 호흡, 맥박, 기침 등 생체지표를 수집, 분석하는 기술도 개발하고 있다.

이를 통해 건강상태, 질병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을 빠른 시기에 실용화해 보급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최동윤 축산환경과장은 “최적사육환경, 정밀사양관리 등에 ICT를 활용하면 노동력은 절감하고 생산성은 높일 수 있다”며 “한국형 스마트팜 모델이 정착돼 농가 경쟁력을 높이는데 이바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최홍욱 기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