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가계부채 19조 8천억원··· 전국 평균 2배 제2금융 소비자 몰림현상 등 가계 붕괴 원인

경제의 허리를 담당하고 있는 중산층이 실제 빈곤층을 삶을 사는 이유는 뭘까.

OECD나 정부의 중산층 기준과 달리 실제 소득이 적었을 때보다 현재 스스로를 중산층으로 여기지 않는 것은 삶의 질이 하락했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실제 경제생활은 빈곤층인 게 중산층의 현실이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주거비 등 가계부채 급증을 최우선으로 꼽고 있다.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올 상반기에 발표한 지난해 도내 가계대출 규모는 총 19조7천877억으로 집계된 가운데 2010~2014년까지 연평균 증가율(11.1%)은 전국 평균의 2배, 강원, 경북, 경남, 충북, 충남, 전남 등 6개 지역보다는 1.2%p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2010년~2015년 8월까지 가계대출 누적증가율은 65.1%로 전국 16개 시도 중 5번째로 높았다.

대출종류별로 보면 신용대출이 전체 가계대출의 55.1%를 차지, 주택담보대출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신용대출 비중은 해마다 내리막길을 걷고 있는 반면, 주택담보대출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올해 들어서도 이 같은 상황은 마찬가지다.

더욱이 최근 시중은행이 대출의 문턱을 높이면서 제2금융권으로 금융소비자가 몰리는 현상이 심화, 이로 인해 가계 붕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여기에 교육비도 중산층 가계를 흔드는 주요 원인이다.

사교육 시장의 규모는 해마다 커지며 연령층 역시 점점 낮아지고 있다는 게 교육계의 공통된 시각이다.

학부모들은 선행학습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학원 위주의 교육이 이뤄지다 보니 젊은 엄마들 사이에서는 교육비 때문에 아이를 낳지 못하겠다는 하소연도 나오고 있다.

아울러 내수경기 침체 장기화에 따른 고용시장 위축 또한 중산층의 붕괴를 가속화 시키고 있다.

/김성아기자 tjddk@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