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정읍-남원-김제 포함 김제 감소 61.9% 전국 최고

전북지역 중소도시로 분리되는 익산·정읍·남원·김제시조차 인구가 지속적으로 줄어들면서 공간이 남아도는 ‘축소도시’로 분류돼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27일 국토정보원에 따르면 ‘저성장 시대의 축소도시 실태와 정책방안’이라는 연구결과를 통해 전북 4개 중소도시를 포함해 전국 20개 중소도시를 축소도시로 분류, 발표됐다.

국토정보원은 군지역과 특·광역시를 제외한 전국 77개 시 지역을 대상으로 인구분석을 통해 축소도시로 분류했다.

축소도시는 지속적이고 심각한 인구감소로 인해 물리적 기반의 공급 과잉 현상이 나타나는 도시를 말한다.

국토정보원은 인구변화패턴 분석에서 지속적인 인구감소를 보이고, 정점인구에서 인구감소 비율이 높은 지역을 축소도시로 분류했다.

도내 4개 지역은 인구변화패턴 분석에서 지속적인 인구감소를 보였다.

해당지역은 지난 1995년부터 2015년까지 지속적인 인구감소세를 보이고 있다는 의미다.

실제로 익산시는 해당기간 연평균 0.46%, 정읍시 1.82%, 남원시 1.83%, 김제시 2.39% 등 인구감소가 이어졌다.

대상지역은 정점인구로부터 감소비율도 높게 산출됐다.

김제시는 정점인구에서 감소폭이 61.9%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축소도시로 분류된 전국 20개 중소도시 중 가장 높은 수치다.

그 외 정읍시 55%, 남원시 54.1%, 익산시 6.79% 등 인구감소 비율을 기록했다.

국토정보원은 이 같은 양상을 보이는 축소도시를 ‘고착형’과 ‘점진형’, ‘급속형’으로 분류했다.

정읍과 남원, 김제는 고착형으로, 익산은 점진형으로 분류했다.

익산시는 향후 지속적으로 인구감소가 예상되고, 그 외 지역은 급속한 인구감소를 거친 상황이라고 해석이다.

이처럼 인구가 지속적으로 줄면서 사람이 살지 않는 빈집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지난 2005~2015년 연평균 빈집 변화율은 익산과 정읍, 남원이 4% 전후를, 김제는 3% 수준을 기록했다.

연구원은 이 같은 결과는 축소도시에서 신규 택지개발을 통한 공동주택의 공급이 더 이상 사업성을 확보하기 쉽지 않다고 분석했다.

그 외 연구원은 세수변화와 경제여건변화, 재정지출 등 악순환이 진행되고 있다는 진단했다.

축소도시마다 지역의 상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도시계획을 수립하는 등 적절한 대응이 이뤄져야 한다는 의미다.

지역 정치권 한 관계자는 “도내는 소멸도시에 이어 축소도시까지 극소수 시군을 제외하고 대부분 포함된 상태”라면서 “이는 그만큼 지역이 낙후돼 왔지만, 이를 적절히 분석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못해 온 결과 아니겠냐”고 반문했다.

/한훈기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