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을 닫느냐 다시 소생하느냐의 갈림길에 놓여 있는 군산조선소가 여러 희망적 메시지에도 불구, 변화의 조짐이 감지되지 않아 속만 타들어가는 형국이다.

현실적으로 가동중단을 막을 수 있는 기관인 금융위원회나 기획재정부가 현실적인 방안을 제시해야 할 때가 왔다는 게 지역의 중론이다.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는 경남 거제에 있는 대우조선해양에 1조원 규모의 선박펀드를 활용해 선박건조 물량을 배정했다.

그러나 군산조선소의 경우 대통령과 국무총리의 지원 발언에도 이렇다 할 지원 대책을 마련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도 군산조선소 지원 대책을 요구하고 있지만 관련 부처들은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최근 산업부는 대체산업 육성이라는 황당한 의견을 제시하면서 지역여론의 질타를 받기도 했다.

이 같은 일렬의 상황이 펼쳐지는 가운데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 시점은 한 발짝씩 다가오고 있다.

정기선 현대중공업 전무는 최근 “일감이 없는 상황에서 가장 효율적인 조선소부터 가동할 수밖에 없다”고 사실상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을 재확인 시켰다.

이는 그간의 언급들과 노력들이 물거품이 될 수 있다는 불안감으로 시민들에게 제시하고 있다.

이제는 그간의 희망적인 메시지에 이어 가동중단을 막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돼야 한다는 여론이다.

대표적으로 금융위와 기재부의 구제적인 움직임이다.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는 선박 물량 건조에 대한 금융권 RG에 대한 감독권을 가진 금융위. 그 외 양 기관은 선박펀드 물량확대 및 운영이 가능하다.

선박펀드 조기 집행으로 군산조선소 물량을 배정하는 방법이다.

자본과 관련한 강력한 권한을 가진 양 기관이 움직이면 현대중공업을 통해 군산조선소 물량배정 조정요구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현대중공업을 포함한 우량 조선업체들은 양 기관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구조기 때문이다.

새 정부가 군산조선소와 관련한 해결 의지가 있다면 현 금융위원장 교체카드를 꺼내서라도 현대중공업을 움직이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미 협력사 51곳이 폐업하고, 3천900여명의 근로자가 실직한 상태다.

위기 상황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현 상황을 타계하기 위해서는 금융위와 기재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하는 것이다.

희망적 메시지가 실제 희망이 되기 위해서는 직접적인 실행력이 담보되어야 한다.

결국 대책은 의지의 문제인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