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를 통해 흰날개무늬병 감염균(Rosellinia necatrix)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해독해 감염 여부를 2시간 내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기술 개발로 과수원의 암과 같은 심각한 토양 병해인 흰날개무늬병의 감염 여부를 손쉽게 판단할 수 있게 됐다.

배, 사과, 복숭아, 포도 등 대부분의 과수 뿌리에 감염되는 토양병해인 흰날개무늬병은 육안으로 병징을 관찰할 시기가 되면 이미 피해가 커 치료가 불가능하다.

심할 경우 폐원에까지 해야 하는 등 과수원의 암과 같은 치명적인 병해이다.

이번에 개발한 흰날개무늬병 감염 진단 기술은 1g 미만의 적은 토양 시료로 조기에 감염 여부를 판단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흰날개무늬병 병원균의 유전체 정보를 기반으로 펑걸셀렉스(Fungal-SELEX) 공정법을 사용해 흰날개무늬병의 감염성 포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앱타머(aptamer) 소재를 개발했다.

특히 개발된 앱타머 소재는 표적체인 흰날개무늬병균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물질로서 과수원 토양 시료에서 추출한 디엔에이(DNA)와 결합해 병해 감염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핵심기술이다.

기존에는 흰날개무늬병 진단을 위해 토양 및 식물체를 채취해 현미경으로 관찰하거나 고구마, 뽕나무 가지를 감염이 의심되는 토양에 삽입하고 약 30일 뒤 삽입체 상의 병원균 형성 여부를 보고 감염 여부를 판단하는 등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됐다.

농진청은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특허 출원했으며 관련 논문도 국내 식물병리학회에 보고했다.

또 현장에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진단키트를 만들어 내년 중순부터 농가에 보급할 계획이다.

원경호 농업연구사는 “흰날개무늬병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진단 기술이 없어 농가에선 과수원이 감염된 사실도 모른 채 피해를 보는 경우가 많았다”며 “개발 기술의 상용화를 통해 농업인들이 현장에서 빠른 시간 안에 자가 진단으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최홍욱기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