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보수’의 기치를 내걸고 지난 1월 닻을 올린 바른정당이 출항 10개월도 안 돼 좌초 위기에 놓였다.

대안보수의 자리를 꿰차고 창당한지 1년이 채 되지 않는 286일 만의 일이다.

김무성 의원 등 소속 의원 9명의 집단 탈당하며 국회 교섭단체의 지위를 잃게 되었기 때문이다.

출범 당시 소속 의원만 33명으로, 창당하자마자 원내 제4당 자리를 차지했고 반기문 전 총장의 대선 주자영입 분위기로 탄핵정국 하에서도 기대감을 불러 일으켰었다.

그러나 반 전 총장이 불출마를 선언하며 첫 시련이 닥쳤고, 유 의원의 대선기간 지지부진한 지지율은 13명 의원들의 집단탈당을 불러왔다.

결정적 한방은 김무성 의원 등 바른정당 통합파 의원 9명.

이들의 탈당으로 그나마 남은 교섭단체의 지위마저 상실됐다.

그야말로 백척간두의 위기에 놓이게 됐다.

국회는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국민의당 등 3당 체제로 재편됐고, 더민주-국민의당 통합 또는 연대설이 나오는 등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국이 요동치게 됐다.

때를 같이해 전북 정치권도 바른정당의 교섭단체 붕괴 여파가 올 지방선거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예의주시하고 있는 분위기다.

김무성 의원 등은 탈당 회견에서 “보수 세력이 중심을 잡지 못해 문재인 정부의 폭주를 지켜보고 있다.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서는 보수세력이 갈등과 분열을 뛰어넘어, 하나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탈당하는 사람들의 공통분모는 “하나가 되기 위해”, “힘을 보태기 위해”라는 여러 수식어들이다.

사실 이는 소수가 다수에 붙는 경우들이 대부분이다.

현대적 의미의 탈당은 정치 형태상 “힘없는 정당의 당원이 힘 있는 정당의 당원으로 옮겨가는 정치행위”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어떤 정치 신념이나 철학, 도의, 가치가 필요한 게 아니다.

오로지 목적은 자신의 정치적 생명의 연장과 정치적 우위, 영달만 존재할 뿐이다.

보수에게 개혁을 바라는 것은 어쩌면 애초부터 무리였는지도 모른다.

‘보수’와 ‘개혁’이라는 단어에서 보듯 상호 모순이었는지도 모른다.

286일 만에 끝이 난 대안보수의 실험은 어쩌면 보수를 중심에 둔 정당들이 가진 태생적 한계이자 귀결점일는지도 모른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