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희망농가 6곳 중 전북 5곳
용지면 산란계농가 확보 관건

말 잔치로 끝날 뻔 했던 김제 용지면 축사개편작업이 새로운 기회를 맞게 돼 관련기관의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정부는 ‘가금 밀집지역 축산개편 사업’을 통해 산란계 밀집지역에 대한 축사의 분산과 현대화를 유도중인 가운데 대상 농가를 찾지 못해 추가모집에 나섰기 때문이다.

7일 전북도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가 전국적으로 사업희망 농가를 접수 받은 결과, 전북 5농가를 포함해 전국적으로 총 6농가만이 이 사업을 희망한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는 AI 발생을 근본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차단하기 위해 올 신규 사업으로 225억(국비 90억, 지방비 90억, 개인 45억)을 확보했다.

자금을 지원해 산란계 밀집단지의 분산 및 현대화시설을 유도하는 것이 사업의 목적이다.

정부는 지난해 말 전국 시도와 시군을 통해 대상 농가를 찾아 왔다.

그러나 전북을 포함해 전국적으로 희망농가가 저조하면서, 정부는 희망 농가를 추가로 찾는 과정을 시작했다.

올 확보한 예산을 소진할 때까지 희망 농가를 찾겠다는 의지다.

그간 도는 산란계 밀집단지 용지면을 중심으로 희망 농가를 찾아 왔다.

현재 용지면에는 55농가에서 130만마리 이상의 산란계가 사육되고 있다.

앞서 도는 용지면   내 충강지역을 기준으로 반경 500m 이내 농가를 중심으로 희망농가를 찾아 왔다.

인근에는 32농가에서 190동(62만3천수)의 축사를 운영하고 있다.

이중 희망농가는 5농가(37동)에 그친 실정이다.

도내를 제외하고 경상도를 통틀어 1농가만이 신청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사업희망농가가 저조하면서 사업비가 남아돌게 된 것이다.

이처럼 정부의 사업 물량이 남았고, 대상농가가 충분히 잔존하는 만큼 희망 농가를 찾아야 할 시점이다.

희망 농가를 충분히 확보해 산란계 밀집지역을 분산시키거나 현대화시설을 갖추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를 통해 반복되는 AI 발생을 줄이거나, 차단하는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는 여론이다.

실제로 김제 용지면에서는 2008년과 2015년, 2016년, 지난해까지 4년에 걸쳐 AI 발생했다.

AI 발생함에 따라 투입된 공적자금은 1천680억 원을 넘고 있다.

반복되는 AI 발생과 그에 따른 행정적, 재정적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되는 것이다.

도 관계자는 “전북을 포함해 전국적으로 대상 농가를 찾지 못하면서 희망 농가를 추가로 찾기 위한 절차들이 진행되고 있다”면서 “농가들은 의견을 듣고, 설득작업을 통해 최대한 희망농가를 늘려서 반복되는 AI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기회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한훈기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