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총장의 선출 권한이 과연 누가한테 있는 것일까? 또 대학의 총장은 교수들을 위해, 아니면 학생들을 위해, 아니면 교원들을 위해 존재하는가? 근본적인 질문에 이젠 답할 때다.

각 대학마다 학생들이 총장 선출 과정에 학생 참여를 주장하고 나선 것이다.

이는 최순실·정유라 사태 뒤 변화된 상아탑의 모습을 반영하는 자화상이기도 하다.

도내에서도 전북대학교 학생들이 17일 총장 선거에 재학생 투표권을 배제한 교수평의원회의 결정에 반발하며 항의 행진을 벌였다.

이들은 학생 투표권을 반영치 않은 총장 선출 방식은 학내 민주주의 말살 시도라며 학내 구성원 모두가 공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유라 입시·학사 특혜비리로 총장이 구속되는 홍역을 치른 이화여대는 지난해 5월 재학생 투표제를 처음 실시했다.

학생 참여 비율은 8%.

이를 통해 개교 131년 만에 처음으로 직선제로 김혜숙 총장을 선출했다.

서울대 역시 개교 이래 처음으로 교수와 교직원만 참여했던 정책평가단에 학생도 포함시켰다.

전임교원은 전체인원 중 20%이내 범위, 직원과 학생은 각각 정책평가단의 14%와 9.5%, 부설학교 교원은 총 4명이 참여하게 됐다.

학생과 부설학교 교원이 정책평가단에 포함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도내에서도 군산대학교가 제8대 총장선거에 재학생 71명을 총장 선출의 유권자로 참여시켰다.

그러나 교수 345명 전원이 유권자로 참여하는 반면, 직원 214명과 재학생 8000여명은 일부만 적용돼 8년 만에 부활한 직선제 취지와 평등한 선거 참여 기회가 무색해졌다는 지적을 받았다.

현재의 대학 총장 선출은 학내 구성원으로써 학생과 교원의 참여 비율을 높여가는 수준에 머물러 있고, 전북의 경우는 학생 참여마저 차단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진정한 의미의 학내 민주화는 갈 길이 멀어 보인다.

총장 선출의 구조와 시스템을 보면 총장은 마치 교수들만을 위해 존재하는 듯하다.

그러나 과연 그런가? 말로는 교수, 학생, 교원을 대학 구성원이라고 하지만 실제는 많은 부분에서 배제되고, 특히 총장 선출 분야에 있어서는 온전히 교수들의 몫으로 돌려왔다.

교수가 대학 내 기득권 세력이기 때문이다.

총장은 교수들만을 위해 존재하는 사람이 아닌 대학 구성원 전체를 위해 존재하는 사람이며 폭 넓게는 오피니언의 핵심리더로써 지역사회와도 함께하는 사람이다.

민주주의는 사실 내가 누리고 있는지도 모르는 그 편안함의 안식, 즉 ‘기득권’을 잠시 내려놓는 일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임을 교수들은 상기해야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