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류인구.

이는 거주인구수에 물론 관광객을 포함한 인구수를 말한다.

전북연구원이 전북의 체류인구가 최소 227만에서 초대 230만명에 이른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고, 더 많은 국가예산 확보를 위해 거주인구가 아닌 체류인구 중심의 지표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

이는 ‘지역개발 지표로서 체류인구의 필요성’이라는 연구원의 이슈브리핑에서 제기된 것으로 추정의 근거는 3개의 시나리오별 체류인구를 추정한 결과 값에서 나왔다.

먼저 첫 번째 시나리오 결과, 전북의 1일 체류인구는 41만2819명에 이르며 거주인구를 합한 체류인구의 합은 226만7456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시나리오 결과는 정주인구 1인당 연간소비액을 관광객의 소비액과 비교해 정주인구 1인당 관광객 수를 산출한 후 정주인구와 합산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정주인구 1인당 연간소비액(1545만원)은 내국인 숙박여행객 60명, 내국인 당일여행객 166명, 외국인 관광객 8명과 맞먹었다.

정주인구 1인당 연간소비액을 전북도 관광객 수로 환산하면 45만1620명에 해당하고 거주인구를 합한 체류인구는 230만6227명으로 추정된다.

세 번째 시나리오에 따른 체류인구는 거주인구에 관광객 수를 합하는 방식으로 진행돼 거주인구는 감소하는 반면, 거주인구와 관광객을 합한 관광체류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다고 한다.

이런 결과 값에 따라 전북은 지난해 관광체류 인구는 3698만 명에 달했고, 이는 전국에서 6번째로 높은 수치였다고 한다.

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거주인구가 아닌 체류인구수로 뒀을 때 여러 가지 정부 사업들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점이다.

현재 국토종합계획, 지역개발, 예비타당성조사, 교부세 산정 등 지역 사업에 대한 정부의 평가가 거주인구를 기준으로 결정된다는 점에서 이 체류인구 중심의 지표가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실제 지난해 전북의 인구수는 186만5천여 명으로 10년 전보다 4천여 명이 줄면서 사업성 평가에서 낮은 점수를 받으며 국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 바 있다.

이날 연구원이 내놓은 데이터는 명약관아하다.

체류인구 중심 지표를 활용하는 방안이 합리적이라는 주장.

행정은 이점을 잘 유념해 수요예측과 산정 등 관련 분야에 적극 활용해 나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