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 최고 기온이 39도까지 오르는 기록적인 폭염.

이는 지난 1994년 7월 이후 24년 만의 살인적 더위라고 한다.

이를 두고 소위 ‘재난수준’이라고 말하기까직 한다.

날씨가 워낙 덥다보니 선풍기에서도 더운 바람이 나온다.

믿을 것이라곤 에어컨, 냉방기기 밖에는 없는 데 문제는 전기요금 누진제 때문에 이마저도 맘 편히 틀수도 없다.

돈 많은 사람들이야 ‘펑펑’ 틀어 놓고 시원하게 틀지 모르지만 서민들은 전기료 폭탄 맞을까 엄두도 못내는 일이다.

정부는 이런 서민들의 전기료 부담을 줄여주자는 데 논의의 핵심을 뒀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국무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이번 폭염은 특별 재난에 준하는 것이므로 전기요금에 대해서도 제한적 특별배려를 할 수 없는지 검토하라”고 산업통상자원부에 주문했다고 한다.

여야 정치권은 전기료 부담의 근원인 누진제 개편 또는 여름 한 철 일시 해제를 조심스레 타진하고 있다.

워낙 전기료 누진제 개편은 파급력이 큰 사안이라 각 당의 입장에 다소 차이가 있지만 연일 계속되는 폭염에 당위성은 어느 정도 공감하는 분위기다.

결론적으로 폭서기에 한해 전기료를 일시 경감시켜주는 것이 일견 타당하다는 생각이다.

폭염으로 인해 농작물은 물론 양식장과 수산물, 축산물 등 전 분야에서 천문학적 수준의 피해를 보고 있다.

특히 올해 폭염은 그 어느 때와 달리 전국적으로 열사병 등 온열 질환으로 사망한 사람만 28명에 달할 만큼 극한의 날씨를 보여주고 있다.

오죽하면 ‘재난수준’이라고까지 말하겠는가.

7월 한 달간 전국 평균 폭염일수도 17일이 넘어 대폭염이라던 1994년과 비슷한 수준이다.

8월 둘째 주 들어서는 40도에 다다를 수도 있다는 기상 전문가들의 예보도 있다.

폭염에 열대야로 잠을 못 이룰 지경이지만 서민들 입장에선 마음 편히 에어컨을 켜기가 겁이 난다.

지난 2016년 6단계로 적용되던 전기료 누진제가 3단계로 낮춰 부담이 덜어지긴 했지만 여전히 폭탄급이 덜어진 건 아니다.

대통령과 총리까지 나서 폭염대책을 꼼꼼히 챙기라 지시하는 마당이고, 정치권도 적극 협력해 지원하겠다 말하고 있는 마당이다.

정부의 분명은 차고 넘친다.

실행부서에서는 말 그대로 실행에 옮겨 정말로 실효성 있는 대책들을 내놓아야 하는 형국인 것이다.

정말로 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수준의 전기료 인하대책들을 한시적으로나마 지체 없이 지금당장 내놓아야할 것이란 생각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