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구성원과 소통하는 총장. 이는 한낮 구호에 지나지 않았던 것일까?

총장을 교수 위주로 선출하려는 교수집단과 대학 모든 구성원들의 참정권 보장을 요구하는 비교원 집단 사이의 충돌이 대학가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전북대 교수회는 특정패거리들의 이해관계 속에서 총장을 선출하는 폐단을 이어왔고, 적지 않은 지적과 비난을 받아왔던 과거를 가지고 있다.

그 누구보다도 대학 민주화를 위해 앞장서야할 이들이 대학 보수화의 선봉에 서고 있는 아이러니.

학내 구성원들의 민심을 뒤로한 채 기득권만을 고집하는 교수집단이 대학을 넘어 지역사회로부터 비난을 사는 이유다.

정유라 입시·학사 특혜비리로 총장이 구속되는 홍역을 치른 이화여대는 지난해 5월 재학생 투표제를 처음 실시했다.

학생 참여 비율 8%.이를 통해 개교 131년 만에 처음으로 직선제 총장을 선출했고, 이후 대학가에 직선제의 물코가 트였다.

그러나 진정한 의미의 학내 민주화의 길은 멀기만 하다.

말로는 교수, 학생, 교원을 대학 구성원이라고 하지만 실제는 많은 부분에서 배제되고, 특히 총장 선출 분야에 있어서는 온전히 교수들의 몫으로 돌려지고 있다.

총장은 교수들만을 위해 존재하는 사람이 아닌 대학 구성원 전체를 위해 존재하는 사람이며 폭 넓게는 오피니언의 핵심리더로써 지역사회와도 함께하는 사람이다.

전북대 총장 선거에서 비교원의 투표 반영비율은 15.13%.

나머지 84.87%는 모두 교수들의 몫이다.

이마저도 여론에 못 이겨 반영할 비율이다.

비교원의 반영비율은 전국 국립대 평균치인 16.21%, 거점 국립대 평균치를 밑도는 수치다.

직원과 학생이 요구했던 것과 큰 차이를 보인다.

우리는 교수들의 대표를 뽑는 선거를 하자는 게 아니다.

대학의 대표를 뽑자는 것이다.

대학의 대표를 뽑자는 것인데 왜 이런 일이 벌어지는 것일까? 바로 기득권의 고수 때문이다.

전북대 민주적 총장 선출을 위한 비교원 공동대책위원회는 “균등한 총장 선출권은 편협하고 폐쇄적인 관료사회와 권위적인 대학사회를 개혁하는 출발점”이라고 말한다.

교수들의, 교수들만의 대표자를 뽑는 선거는 이제 그만하자는 것이다.

교수는 물론 학생과 교직원, 조교 등 학내 모든 구성원들이 원하고 바라는 대표성을 띤 인물을 대학의 대표 인물로 선출하자는 것이다.

이런 작은 바람은 어쩌면 대학 구성원은 물론 지역사회도 함께 바라는 바일 것이란 생각이다.

교수들의 기득권 내려놓기와 뼈아픈 자기반성이 절실한 시점이 아닌가 싶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