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층 가계부채 채무조정
복지서비스 연계 자립도와
524건상담 진행 5억6천만원
감면혜택··· 시군협조 추진

카드 대출을 감당하지 못해 극심한 정신적 고통을 겪었던 40대 김 모 씨가 최근 전라북도서민금융복지센터(센터장 이광행, 이하 센터)의 도움으로 삶의 안정과 희망을 품게 됐다.

한창 일할 나이지만 김 씨는 20여 년간 앓고 있는 정신적 장애로 인해 본인의 의지와 달리 일자리를 구할 수 없었다, 더욱이 사업 실패의 충격으로 김 씨의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면서 가세는 더욱 기울었고 노모와 둘이서 기초생활수급비 47만원, 노령연금 20만원으로 겨우 생활을 이어갔다.

이에 부족한 생활비를 충당하기 위해 카드 대출에 발을 들여놓았다가 매월 원금과 이자를 합해 70만원이 넘는 금액을 상환해야 하는 처지에 놓이게 됐다.

정신적 장애로 인해 꾸준한 치료와 약을 복용해야 하지만 카드 대출의 늪에 빠지면서 그럴 수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된 것이다.

센터의 도움을 받기 전까지 이런 상환 압박에 시달리면서 김 씨의 생활은 나날이 악화, 판단력마저도 흐려지게 됐다.

그러던 중 우연히 사회복지사의 소개로 센터의 도움을 받게 됐다.

센터는 근로능력이 없는 등 김 씨의 상황을 빠르게 파악, 우선 채무상담을 통해 파산면책신청을 도왔다.

이후에도 계속되는 채권자의 추심문자 자제를 요청하는 등 김 씨가 정신적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움직였다.

정신적 장애가 있음을 배려한 조치로, 센터는 지금도 지속적으로 사후관리를 통해 김 씨의 생활안정을 위해 힘을 보태고 있다.

김 씨는 “센터의 배려로 마음의 안정을 많이 찾았다”며 “지금도 센터에서 이래저래 마음을 써주고 가능한 일자리도 알아봐 주고 있다, 삶이 막막했는데 센터를 통해서 희망을 꿈꾸게 됐다”고 말했다.

  전라북도서민금융복지센터가 도내 금융취약계층에 든든한 버팀목이 돼 주고 있다.

금융취약계층의 가계부채에 대한 채무조정과 복지서비스 연계를 통해 자립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 주고 있는 것이다.

전북도 역시 센터 지원을 통해 금융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힘을 보태고 있는 상황.

 16일 센터에 따르면 지난 5월 16일 문을 연 뒤 신용회복위원회 전주지부, 전북광역자활센터, 법률구조공단 전주지부,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전북센터 등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현재까지 총 524건의 상담을 진행했다.

상담분야는 ‘채무조정’이 71.4%로 가장 많았으며, ‘금융(대출)(15.8%)’, ‘채권협상(4.2%)’ 등의 순이었다.

특히, 채무조정을 통해 약 5억6천340만원의 감면 혜택을 이끌어 냈다.

연령별로 보면 경제활동이 가장 활발한 ‘40대’가 35.3%로 가장 많았으며, ‘50대’가 29.2%로 그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는 센터가 자리한 ‘전주시(18.9%)’가 1위를 차지했으며, ‘김제시(17.6%)’, ‘군산시(13.3%)’, ‘익산시(12.9%)’ 등의 순으로 파악됐다.

단순 상담으로만 그치지 않고 일자리 연계 등 사후관리까지 원스톱 지원을 통해 금융취약계층의 생활 안정을 도모함에 따라 센터의 문턱을 넘는 이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금융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전북도에서 의지를 갖고 시군의 협조를 끌어내며 적극 홍보하고 있다는 점 역시 센터 이용률을 높이고 있다.

더욱이 최근 경기 침체 장기화로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금융취약계층의 어려움이 심화되면서 센터의 역할이 강조되는 분위기다.

하지만 현재의 센터 규모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인력과 규모를 더욱 확대하고 시군의 협조 또한 더욱 강화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에 센터는 금융소외계층의 자립과 금융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대한 의지가 강한 전북도와 함께 유기적인 협조를 통해 시군의 관심과 홍보를 실시할 계획이다.

또한 금융기관 보유의 상각채권 중 재무컨설팅 및 채주조정과 연계해 채권의 무상기부 및 저가매입을 통해 부실채권소각을 추진키로 했다.

아울러 센터 직원의 역량 강화와 함께 이용률을 더욱 높여 제2의 센터 설립 등을 통해 규모의 한계를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이광행 센터장은 “전북도와 함께 시·군별 홍보를 확대하면서 지역별 차이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아직은 출발 단계로 부족한 부분이 많은 만큼 전북도와 더욱 협력 체제를 공고히 해 금융소외계층의 경제적 자립을 도울 것”이라며 “뿐만 아니라 사회복지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해 일자리를 제공, 채무가 발생하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소하는 데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아기자 tjddk@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