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를 타고 여행에서 돌아오는 길에 봉동을 들렀다.

마침 김장철도 다가오고 해서 생강을 좀 살까 했던 참이었다.

생강하면 대명사처럼 떠오르는 곳이 봉동이니 산지에서 직접 구하면 맛이나 가격 등 여러모로 낫지 않을까 하는 마음의 위안도 있었다.

생강을 재배할만한 한적한 마을의 한 농가를 들렀다.

“생강 좀 사려고 하는데요!” 마당에서 가을걷이 손질을 하고 있던 할머니가 굽은 허리를 펴며 말했다.

“우리 시앙은 벌써 다 나갔어요!” “아니요 할머니 생강을 사려한다고요.” “글쎄, 우리 집 시앙은 없당게”.

서로 다른 언어가 몇 마디 오가며 잠시의 옥신각신이 이어지자 옆에 있던 남편이 통역을 하고 나섰다.

“생강을 우리 지방에서는 시앙이라고도 하는 거야” 생강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인 ‘새앙’을 비슷하게 발음하여 ‘시앙’이라는 우리의 방언이 된듯하다.

생강은 서리가 내리기 전인 11월 말까지 캐내는 것이 가장 싱싱하고 특유의 알싸함과 향긋함이 강하여 김장에 없어서는 안 될 약방의 감초로 쓰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생강은 생선이나 고기의 비린내를 잡아주거나 양념으로 쓰이고 있지만 최근에는 가공식품으로도 인기를 얻고 있다.

생강가루.

생강절임.

생강엑기스.

생강환.

생강차.

생강한과.

생강막걸리까지 생강을 이용한 식품이 다양화되고 있다.

동의 보감에서는 생강을 ‘성질이 따뜻하고 맛이 매우며 독이 없다.

담을 삭히며 기를 내리고 토하는 것을 멈추게 한다.

습기를 없애고, 딸꾹질을 하며, 기운이 치미는 것과, 숨이 차고, 기침 하는 것을 치료 한다’ 고 소개한다.

겨울의 문턱에 들어설 요즈음 우리 집의 즐겨찾기 메뉴는 생강 돼지고기 구이다.

여느 돼지고기 구이지만 이 철에 가장 맛있는 것은 바로 생강이 제 맛을 주는 철이기에 그렇다.

돼지고기 목살을 얇게 저미고 고기에 칼집을 충분히 내어 양념이 사이 사이로 들어갈 자리를 만든다.

파, 마늘, 설탕, 참기름, 진간장, 다진, 파, 마늘, 매실 엑기스 등 갖은 양념을 다 넣고 가장 마지막에 화룡점정은 바로 생강이다.

곱게 즙을 짠 생강을 듬뿍 투하한다.

30분쯤이면 목살고기와 생강은 서로 무르익는다.

뜨거운 팬에서 그 무르익음을 더 하면 바로 최고의 생강 돼지목살구이가 탄생된다.

생강은 ‘입에 쓴 것이 몸에 좋다’는 고구양약(苦口良藥)의 대표적인 음식이다.

생강의 맵고 톡 쏘는 성분은 사람들이 싫어하지만 그 성분이 되려 감기예방과 장 건강 등에 효능이 있다.

동의보감에서는 생강의 성질은 따뜻하나 껍질은 차기 때문에 뜨겁게 하려면 반드시 껍질은 버려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생강의 껍질을 일일이 벗겨내는 일은 귀찮고 성가신 일이다.

하지만 따뜻한 기운을 얻기 위해서 반드시 거쳐야 할 과정이다.

그 귀찮고 성가신 과정을 거친 뒤라야 제대로 된 따뜻한 기운을 얻을 수 있다.

어찌 생강뿐이랴.

우리네 삶도 귀찮음과 성가심의 핑계로 반드시 벗겨내야 할 껍질을 못 벗겨내고 있는 삶의 각질들이 얼마나 많은가? 간절기의 스산한 바람이 콧구멍을 간질이니 껍질을 제대로 까서 우려 낸 따끈한 생강차 한잔 해야겠다.

/서향숙 언론인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