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희덕시인 '파일명 서정시'··· 고대 인도설화
구동독정보국 사찰기록 등 비극 시 속에 녹여

2014년 임화문학예술상 수상작 ‘말들이 돌아오는 시간’ 이후 나희덕 시인이 4년 만에 여덟 번째로 시집 ‘파일명 서정시(창비)’를 펴냈다.

 1989년 중앙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한 이래 30년간 투명한 서정과 깊은 삶의 언어로 독자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아온 저자의 시 세계는 최근작들을 통해 변화와 전환을 이뤄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 사랑의 나날 중에 대체 무엇이 불온하단 말인가//그들이 두려워한 것은/그가 사람의 마음을 열 수 있는 말을 가졌다는 것/마음의 뿌리를 돌보며 살았다는 것/자물쇠 고치는 노역에도/시 쓰는 일을 멈추지 않았다는 것/(‘파일명 서정시’ 중에서).”

고대 인도의 설화, 구 동독 정보국이 시인 라이너 쿤쩨를 사찰한 기록, 행위예술가 마리나 아브로모비치의 퍼포먼스, 끌라우디아 요사 감독의 영화, 공동체주의자 찰스 테일러 등 다른 장르의 텍스트를 재구성해내며 블랙리스트나 세월호사건과 같이 ‘지금-여기’에서 발생하는 비극과 재난의 구체적 면면을 시 속여 녹여낸다.

이러한 시도들은 죽음과 부재, 결핍이라는 서늘한 세계에 발을 딛고서 ‘이것이 인간인가’를 되묻거나 ‘종이에서 시가 싹트리라 기다리지 마라’고 선언하는 등 작가의 시 세계에 침투한 여러 영역들이 결합되고 뒤섞여 거칠고 직설적인 어법으로 독자들을 이끌어간다.

서늘하게 느껴지는 시인의 어법은 존재의 아픔과 곳곳에 드리워진 죽음의 그림자를 낱낱이 헤집어낼 수 있는 유일한 방법론이자, 새로운 미학을 향한 내면의 고투이다.

시 ‘파일명 서정시’만 보더라도 슬픔의 힘으로 죽은 자를 불러내고, 비극을 움켜쥔다.

폭력을 직시하는 노래인 것이다.

진혼의 노래이자 저항을 노래하고 하나의 노래가 끝나면 다시 새 노래가 시작 되기 전 흐르는 침묵 그 찰나의 침묵에서 시인은 “죽어가는 존재들도/여기서는 잠시 숨을 돌릴 수 있는/불가능한 것의 가능성”을 떠올려보기도 한다.

숱한 참혹과 어이없는 죽음들 앞에서 무언가 말해야 한다는 의무감과 무엇도 말 할 수 없다는 절망감 사이에서 그 어떤 말도 무의미하고 무기력하다는 것을 절실히 깨닫게 된 저자는 사랑과 생명력으로 가득했던 여타의 어법을 완전히 지워냈다.

박준 시인은 추천사에서 “뱉지도 못하고 토해낸, 남루와 비루, 청음과 득음, 허기 같은 살기. 죽음 그리고 죽음들, 시인이 시를 쓰는 것이 아니라 시가 시인을 쓰게 하는 서른 해 시의 시간들로부터 스스로 멀어져서 돌아보지 않고 온몸으로 돌아서는, 절망이라 하지 않고 절망하는 기약 없이 보듬는, 힘이라 할 것도 없는 힘으로 다시 쓰는, 오늘 우리가 처음 만나는 나희덕 시, 우리가 처음 만나는 서정시”라고 소개했다충남 논산에서 태어난 시인은 연세대 국문과와 동 대학원 박사과정을 졸업했다.

시집으로 ‘뿌리에게’, ‘그 말이 잎을 물들였다’, ‘그곳이 멀지 않다’, ‘어두워진다는 것’, ‘사라진 손바닥’, ‘야생사과’ 외 다수가 있다.

현재 조선대 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김수영 문학상,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현대문학상, 이산문학상, 소월시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박은기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