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역외유출 전북 5조원
서울 40조원 유입 본사밀집
지역균형발전 정책 겉돌아

정부가 혁신도시를 비롯한 균형발전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수도권집중현상은 오히려 심화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유출되는 부가 전북에서만 한해 4조8천억원이 빠져가는 등 오히려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어 지역균형발전정책이 겉돌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산업연구원이 25일 발표한 '지역소득 역외유출의 결정요인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충남에서 24조9천711억원의 요소소득이 다른 지역으로 유출됐다.

요소소득은 해당 지역에서 일하는 사람의 근로소득과 지역에 있는 기업소득의 합이다.

전국 16개 시·도(세종시 제외)의 소득 유출입을 조사한 결과 2016년 충남을 포함한 9개 지역에서 소득이 유출됐다.

유출액은 충남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경북(16조1천3억원), 울산(13조6천305억원), 경남(12조205억원), 전남(11조5천236억원), 충북(9조7천698억원), 강원(6조1천842억원), 전북(4조8천921억원), 제주(727억원) 등이다.

서울 등 나머지 7개 지역은 소득이 유입됐다.

유입액은 서울(40조3천807억원)이 월등히 높았고, 경기(21조9천464억원)등으로 서울과 경기로 유입된 소득(62조3천271억원)이 대다수를 달했다.

소득이 유입된 지역과 유출된 지역의 격차는 지난 10여 년간 더 벌어졌다.

서울의 유입액은 2000년에서 2016년 사이 11조283억원 늘었고 경기(5조7천897억원)도 2000년과 비교해 소득이 더 유입됐다.

다시말해 ‘수도권 블랙홀' 현상이 과거보다 강화되는 양상"으로서 "유출입지역이 2000∼2016년에 걸쳐 고착화하는 추세를 보이며, 유입·유출 심화로 분배소득 격차가 더욱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현상은 소득 유출입의 주요 원인이 근로자의 근무지와 거주지가 다르고, 본사와 공장·지사·영업소의 소재지가 다르기 때문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서울·경기에 기업 본사가 많다는 의미다.

지역에 고부가가치산업을 많이 육성해도 역내에서 전문인력을 충분히 구하지 못할 경우 다른 지역에서 오는 통근 근로자가 늘어 소득이 유출될 수 밖에 없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소득유출 완화를 위해 단기적으로는 특정 지역에서 발생하고 사용하는 '지역 화폐'와 전략적 기업유치를, 장기적으로 혁신인력 양성과 정주 여건 개선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박정미기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