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아 감소로 위기를 맞고 있는 전북이 이제는 다문화가정의 출생을 위해서도 힘써야할 것으로 보인다.

다문화 가정마저 아이를 낳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그야말로 ‘엎친 데 덮친 격’이다.

전북은 특히 다문화 혼인비중이 전국에서도 높은 편에 속해, 다문화가정마저 저출산 기조에 들어서며 인구절벽 현상을 맞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통계청이 지난 25일 발표한 ‘2017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다문화가정의 출생아 수는 751명으로 2016년 877명보다 126명이나 줄면서 14.4%의 감소율을 나타냈다.

같은 기간 전국은 1만9431명에서 1만8440명으로 991명 줄면서 5.1%의 감소율을 나타내는 등 전북도가 전국대비 다문화가정의 출생아 수 감소세가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 다문화가정 출생아 수는 2008년 765명 통계치 이래 정점을 찍었던 2011년 1천144명 이후 해마다 꾸준히 감소하면서 지난해 통계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하게 됐다고 한다.

또 도내 국제결혼 비중도 최근 3년 연속 감소했다.

도내 다문화가정 혼인건수는 2015년 772건, 2016년 717건, 지난해 744건으로 줄었다.

특히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도내 다문화가정 비율은 9.4%로 전국 8.3% 수준을 웃돌았다고 한다.

반면에 지난해 도내 다문화가정의 이혼건수는 전국에서 가장 많이 줄었다.

지난해 356건으로 2016년(447건)보다 91건 줄면서 20.4%의 감소율을 기록했다.

이는 어느정도 다문화 가정이 지역사회에서 일정정도 정착단계에 접어들었음을 반증하는 요소이기도 하다.

이처럼 도내 다문화가정의 정착 성과가 전국대비 높게 나타났지만 출생아 수는 오히려 줄어 다문화가정도 바야흐로 저출산 기조에 들어선 게 아니냐는 우려섞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다문화가정이 아이를 양육하는데 문화적인 차이로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우리 사회가 배려하고 또 그들을 바라보는 시각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는 단계, 인식을 전환시켜야하는 요구의 시대가 다다른 것이다.

다문화가정이 우리사회의 경제구성원으로써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고, 이는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 되고 있는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