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해방운동사에서 ‘분수령’적인 의미를 지니는 3.1운동 이후 전개된 문화계몽운동과 학생운동, 청년운동, 신간회운동 등 전북지역 항일운동에 관한 전체적인 조망이 요구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27일 전북도 주최로 열린 ‘3.1운동 100주년 기념 심포지엄’에서 김형목 독립기념관 책임연구위원은 “민족해방운동의 차원과 더불어 근현대 전북인의 생활상과 가치관 변화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는 일제강점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며 식민지 수탈의 ‘최전선’인 전북지역의 독립운동사를 중점적으로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심포지엄은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전북의 독립운동과 현대적 계승을 주제로 3.1 운동을 통한 현재와 미래 활용방안을 논의하고, 동학농민운동으로부터 계승된 영향을 중심으로 구한말(대한제국 말기) 의병 중심지였던 전북 지역 독립운동사를 조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주제발표자로 나선 김형목 연구위원은 “3.1운동 이후 다양한 민족해방운동론의 등장은 당시의 상황과 밀접한 관계 속에서 이뤄졌다”며 “청년운동을 비롯한 노동운동, 여성운동, 교육운동, 학생운동, 형평운동, 의열투쟁 등 부문별 민족해방운동 분화와 진전은 당시 상황을 분명하게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한편, 3.1운동 100주년을 기념해 진행된 심포지엄은 박맹수 원광대학교 총장의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김형목 독립기념관 책임연구위원, 이춘구 국민연금공단 감사, 윤상원 전북대 사학과 교수가 주제발표에 나섰다.

/박은기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