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트트랙의 선거법 개정안에 따라 내년 전북의 선거구는 10곳에서 7~8곳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가운데 최근 유성엽 민주평화당 새 원내대표가 패스트트랙의 선거제안에 반대 입장을 나타내며 선거제 논의가 새 국면을 맞고 있는 분위기다.

본보 역시 이런 정치적 상황에 대해 다뤘고, 선거제 변화에 주목하는 분석 기사를 내놨다.

애석하게도 전북 입장에서는 여야 4당의 선거제안이 부결돼야 현재의 지역구 10석을 지켜낼 수 있는 상황이다.

유 원내대표는 현 패스트트랙에 올린 선거법에 거부입장을 낸 상태다.

국회의원 정수를 늘리더라도 농어촌 지역구는 지켜져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대안으로 국회의원 세비를 50% 감축하고 의원정수는 50명 확대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의원에게 들어가는 총비용은 줄이면서도 국회 의석을 늘려, 농어촌 지역구를 최대한 지키겠다는 대안이다.

유 원내대표의 이 같은 제안에 대해 평화당 내부에서도 긍정적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고 한다.

실제 전북을 포함, 호남권은 6~7개의 국회의석이 줄어들게 돼 상당수 호남권 의원들이 본 패스트트랙 안에 대해 내심 부정적 생각을 견지하고 있다고 본보는 진단했다.

셰익스피어 4대 비극 중 햄릿의 명대사에는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로다”라는 대목이 나온다.

작금의 호남 국회의원들이 직면한 상황이 아닌가 싶다.

페스트트랙의 대의명분을 쫓을 것이냐, 아니면 지금 당장 내년 총선에서 의석을 보전하느냐.

호남지역 의원 앞장에서는 사실 선택의 기로에 놓여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옛말에 “우선 나부터 살고 봐야 한다”는 말이 있다.

내가 살아야 남도 챙길 수 있다는 말이다.

시인 고도원의 ‘절대고독’이라는 시에서도 “내가 먼저 행복하게 살아야 남도 행복하게 살릴 수 있습니다.”라는 구절이 나온다.

물론 의원수가 많다고 발전이 더뎌지는 것도, 반대로 의원의 수가 많다고 발전이 속도감 있게 진행되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아무래도 우리지역의 국회의원이 사라진다면 그만큼 지역을 대변하는 데 소홀해질 것이라는 게 지역 정서다.

무엇보다도 의원 본인이 본인의 지역구를 벗어나 불가피한 경쟁을 벌여야 하는 데 아무리 대의명분도 좋지만 과연 이런 선택을 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정치개혁, 사법개혁도 좋지만 내가 없는 정치판은 무의미한 것이다.

이런 점에서 작금의 패스트트랙이 제대로 통과될 수 있을지 의문시 되고 있는 상황이다.

무엇보다도 제1야당의 결사반대 속 일부 야당이 흔들리는 마당이다.

새로운 해법이 나와야할 절체절명의 순간인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