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성환 의장을 비롯한 전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가 최근 지역언론을 배제한 개편을 실시한 것과 관련, 네이버측을 비난하며 지역언론 참여의 문을 열라고 밝혔다.

이들은 지난 18일 제주도의회에서 임시회를 열고 “네이버 포털 측이 모바일 앱 제휴언론사 중 지역 언론을 배제한 개편을 실시했다”며 “이는 지역주민의 알권리를 침해함과 동시에 풀뿌리 민주주의 근간을 흔드는 것”이라고 즉각 중단을 촉구했다.

협의회는 “대형 포털의 지역 언론 차별과 배제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모든 영역에서 뿌리내린 지방에 대한 중앙집권적 사고의 연장선”이라며 “네이버의 지역 언론 배제 즉각 철회와 함께 지역과 중앙 상생 미디어 환경 조성을 위한 법과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번 네이버의 행태는 지역 주민의 알권리 침해, 지방분권과 민주주의 정착의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전국언론노동조합은 앞서 11일 네이버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네이버측의 책임있는 사과와 함께 ‘네이버-지역언론 상생을 위한 대화 요구서’를 전달한 바 있다.

일회성 항의가 아니라 지역 이용자와 현업 언론노동자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해 개선책을 모색하자고 제안한 것이다.

언론노조의 이런 제안에 대해 네이버는 사과 다신 자신들의 책임을 위원회에 돌렸다.

뉴스제휴평가위원에서 논의가 먼저 이뤄져야 할 사항이니 이를 전달하겠다는 것이다.

네이버는 그동안 사회적 비판에 직면할 때면 각종 ‘위원회’를 만들어 책임을 회피해 왔다.

제평위도 마찬가지다.

뉴스 제휴를 결정하는 자리에 각종 이해 당사자들을 참여시켜 이익을 대변하게 했다.

네이버는 제평위가 독립 기관이라는 점을 부각하며 자신은 어떠한 의사결정 권한이 없다는 핑계를 대왔다.

하지만 제평위 활동의 물적 토대는 물론 위원 구성을 위한 추천단체도 네이버 등이 결정하기 때문에 ‘독립기구’라는 주장을 선선히 받아들일 사람은 없다.

결국 이번에도 제평위를 방패막이로 내세운 것 아닌가 싶다.

네이버는 민주주의의 근간과 지역 여론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 이번 사태에 대한 자신들의 책임을 간과하는 듯하다.

지역 시민과 언론노동자가 분노하는 이유를 애써 외면한 채 고작 우는 아이가 젖을 달라고 떼를 쓰는 것으로 치부하는 것은 아닌지.

지금이라도 네이버는 포털 1위 사업자로서의 지위와 자격,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라도 지역 언론 배체 철회를 통해 지역민들의 알 권리를 보장해 나가야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