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상의, 1천대기업 중
14개만 도내에 본사둬
참프레 67위 뛰어올라 눈길
매출8조 전체 0.39% 미미

매출액 기준 국내 1천 대 기업 가운데 도내에 본사를 둔 기업은 겨우 14개사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이들 기업 중 100대 기업에 이름을 올린 기업은 여전히 단 1개사도 없는 것으로 파악, 그만큼 도내 산업 규모가 빈약하다는 의미다.

이에 지역 균형발전 차원에서라도 정부에서도 이를 고려한 정책을 추진, 지자체 역시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실질적인 대책 마련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지적이다.

1일 전주상공희의소(회장 이선홍)가 발표한 ‘2018년 매출액 기준 1천대 기업 중 전북지역 기업현황 분석 보고’에 따르면 도내에 본사를 둔 기업 중 1천 대 기업에 이름을 올린 기업은 14개사로, 지난 2017년보다 3개사가 늘었다.

14개사는 △동우화인켐㈜ △타타대우상용차㈜ △㈜하림 △㈜전북은행 △JB우리캐피탈㈜ △㈜전주페이퍼 △군장에너지㈜ △(주)참프레 △㈜세아씨엠 △미원스페셜티케미칼㈜ △일진머티리얼즈㈜ △일진제강㈜ △㈜제일건설 △전북도시가스㈜ 등이다.

이들 중 신규 진입한 기업은 세아씨엠, 미원스페셜티케미칼, 일진제강, 전북도시가스 등 4개사이지만 ㈜에코시티개발이 순위권 밖으로 밀려남에 따라 전체적으로는 3개사밖에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신규로 진입한 기업을 제외한 10개사 중 6개사가 전년보다 순위가 오른 가운데 참프레가 2017년(768위)보다 67위나 뛰어오르며 가장 크게 성장했다.

반면 순위가 하락한 4개사 중 타타대우상용차는 59위나 뒤로 밀리며 순위 하락폭이 가장 컸다.

1천대 기업에 이름을 올린 도내 14개사의 지난해 총 매출은 8조8천483억원으로, 2017년보다 9천890억원 증가했다.

하지만 전국 1천대 기업 전체 매출(2천280조6천294억원)의 0.39%에 불과, 이는 업체 수(1.4%)가 차지하는 비중보다 훨씬 미미한 수준으로 분석됐다.

매출 1천 대 기업의 시·도별 순위를 살펴보면, 서울이 500개사로 절반을 차지, 부동의 1위 자리를 지켰다.

이어, 경기(175개사), 경남(42개사), 충남(37개사), 인천(36개사), 부산(35개사) 등의 순이었으며 전북은 17개 시·도 중 대전과 공동으로 12위를 기록하며 하위권에 속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전체의 71.1%(711개사)를 차지, 영남권과 충청권이 각각 16.5%(165개사), 7.4%(74개사)로 뒤를 이었다.

호남권은 겨우 4.4%(44개사)로 지역편중이 심각한 것으로 분석됐다.

뿐만 아니라 도내 14개사 중 100대 기업 명단에는 오른 곳은 여전히 단 한 곳도 없었다.

1천대 기업에 포함된 기업 가운데 출 매출 순위가 가장 높은 곳은 동우화인켐으로, 181위를 차지하며 겨우 전국 순위 200위권에 들었다.

500위권에는 타타대우상용차, 하림, 전북은행, JB우리캐피탈만이 포함됐다.

100대 기업을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74개사로 가장 많았으며, 경기(8개사), 충남(4개사), 경남·경북·울산(3개사), 인천(2개사), 부산·전남·대구(1개사) 등의 순이었다.

충북·강원·제주·광주·대전·세종 등은 전북과 같이 전무했다.

결국, 도내에 본사를 둔 기업체의 수와 매출액이 면적이나 인구수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데다 1천 대 기업의 71.

1%가 수도권에 여전히 편중, 이는 곧 도내 산업 규모가 빈약함은 물론 지역 간의 불균형 현상이 해소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로 인해 지역 산업 기반을 더욱 튼튼히 해 기업들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지자체의 대책이 속도감 있게 추진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한, 낙후지역 내에 기업 유치를 위한 정부 차원의 다양한 지원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이선홍 회장은 “지역 내 토착기업을 육성하는 일이 중요한 과제임에도 여전히 과도한 규제로 인해 우리 기업들이 타지역으로 이전을 고려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며 “지자체와 관련 부처는 적극적인 규제개선을 통해 기업의 투자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역 간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수도권과 지방의 상생을 위해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이 추가로 고려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성아기자 tjddk@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