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호의 수질이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는 소식이다.

오는 2020년 새만금호의 담수화 목표시기를 6개월 앞두고 있지만 새만금호 수질은 좀 채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아 자구책 마련이 급선무로 떠오르고 있다.

앞으로도 스마트 수변도시 건설 등 내부개발이 본격화되면 수질 개선이 더욱 어려워질 수밖에 없어, 담수화가 아닌 해수유통으로 물관리 정책을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전북녹색연합에 따르면 새만금호의 동진강과 만경강 수역 중간지점의 화학적 산소요구량이 20PPM 안팎까지 오르는 등 6급수 수질을 훨씬 웃돌아 새만금 사업이 시작된 이후 최악의 수질을 기록했다.

새만금호의 담수화 목표시기인 2020년을 불과 6개월 앞둔 시점인데도 개선은커녕, 2018년 1월부터 17개월간 계속 상태가 악화하고 있다는 것.


COD의 경우 호소에서 10ppm을 초과하면 최악의 수질인 6급수인데, 10ppm을 넘어서 22.4ppm을 기록했다.

녹조의 원인인 클로로필a의 농도도 203.9ppm으로 6급수의 기준인 70ppm을 훌쩍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부분의 생명체가 생존할 수 없는 수질이라는 것.

중간지대에 해당하는 DL1지점의 경우도 COD가 21.7ppm을 보였고, 클로로필-a의 농도도 225.6ppm을 기록해 역시 6등급이었다.

또한 새만금호에 흘러들어오는 만경강수역 중간지점인 ME2지점의 수질도 COD 기준 16.1ppm을 기록했고, 클로로필-a의 농도도 113ppm을 기록해 역시 최악의 수질인 6등급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수질 악화는 새만금 동서도로와 남북도로 등 내부개발이 본격화하면서 바닷물 순환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못하고 정체되기 때문이라는 분석.

바닷물이 유통되지 않고 최종 담수화하면 상태가 더 나빠질 것이라는 주장이다.

수질개선을 위해 필연적으로 상시 해수유통이 유일한 답이라는 게 환경단체의 입장이다.

그러나 전북도는 현 단계에서 해수유통 등의 추가대책에 대해 언급할 상황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새만금 2단계 수질대책에 대한 종합평가 연구용역이 발주된 상태로, 내년 하반기 용역결과가 나오면 정부에서 종합적인 검토가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해수유통 논의는 오래 전부터 있어왔다.

이 문제를 최후의 보루처럼 두고 가는 도의 입장이 과연 신중론인 것인지는 더 지켜볼 일이다.

문제는 좀 채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 수질을 어떻게 잡을 것이냐다.

시간이 그리 많지 않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