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에서 신생아 울음소리 듣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고 한다.

20~30대 젊은 층의 감소와 출산시기가 늦어지면서 합계출산율 하락 등으로 저출산 현상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란다.

특히 전국 17개 시·도 중 조출생률이 뒤에서 두 번째를 기록, 저출산 문제가 타 지역보다 심각하다고 한다.

이는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출생통계(확정)’에 따른 것으로, 지난해 도내 출생아 수는 1만명으로 2017년보다 1천300명(11.9%)이 줄었다고 한다.

이는 10년 전인 2008년 1만5천878명보다 5천877명이 감소한 것으로, 특히 2013년부터 한 차례도 멈추지 않고 하락, 그 속도도 점점 가팔라진 것으로 분석됐다.

전국적으로는 2017년 대비 출생아수 평균 증감률(-8.7%)을 크게 웃돌며 9개 도 가운데 감소율이 가장 가파른 데다 17개 시·도 중에서는 대전(-14.0%), 울산(-13.1%) 다음으로 빨랐다.

인구 1천명당 출생아 수를 나타내는 조출생률의 경우 도내는 5.5명으로 집계 2017년 대비 0.7% 떨어졌다.

이 역시 전국 평균(6.4명)을 하회하며 17개 시·도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여자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합계출산율은 1.04명으로 전국 평균보다는 겨우 0.06%p 높았다.

하지만 지난해보다는 0.11% 하락, 17개 시·도 가운데 울산, 대전 다음으로 빨랐다.

이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40대 이상을 제외하고는 모두 하락, 특히 20대 후반이 2017년(61.4명)보다 11.7명 줄면서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여성들의 경제활동이 늘면서 평균 출산 연령이 높아지고, 신혼을 길게 즐기려는 트렌드로 출산시기 또한 늦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는 인구감소, 육아환경, 교육비 등의 요인과 함께 저출산 현상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인구절벽’의 재앙이 코앞에 닥친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도내의 경우 인구 규모가 다른 지역 간에 출산 수준을 동일하게 비교할 수 있는 조출생률이 하위권으로, 그만큼 저출산 문제가 타 지역보다 심각하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앞으로 10년 뒤가 인구 정점이라지만 이미 인구 재앙은 시작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청년들이 결혼과 출산을 기피하는 이유는 일자리를 비롯해 보육과 교육, 주택 등의 애로가 복합적으로 얽힌 탓이다.

단편적인 사안에 단편적 처방약을 내놓기 보다는 장기적이고 포괄적이며 종합적인 해법을 모색해 나가야할 때인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