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이 빠른 속도로 늙어가고 노년 부양비가 급격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한다.

생산 가능한 인구보다 부양해야 할 고령 인구가 상대적으로 많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지역 경쟁력 약화를 불러와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통계로 본 2019년 호남·제주 고령자 현황 및 분석’에 따르면 전북지역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35만5천명으로 전체인구의 19.7%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구성비는 65~69세 28.2%, 70~74세 23.3%, 75세 이상 48.5%로 집계됐다.

호남·제주지역에서 고령인구 비율은 전남(22.3%)이 가장 높았으며, 전북이 그 뒤를 이었다.

이들 지역은 전국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인 14.9%을 훨씬 웃돈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고령 인구 증가세가 가파른 상황으로, 이 추세가 이어질 경우 2020년에는 20.6%로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또 2041년에는 40%, 2045년에는 42.5%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전국의 2045년 고령인구 비율은 37.0%로, 지금보다 향후 전북의 고령화 속도가 다른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가파를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어, 노년부양비 및 노령화지수 추이를 살펴보면 우선, 전북지역 2019년 노년부양비는 28.9명으로, 이 역시 전국 평균인 20.4명을 웃돌고 있다.

지난 2000년과 비교해 무려 12.5명이 증가한 가운데 고령화의 속도만큼이나 가파른 만큼 2045년에는 무려 87.4명에 달할 것이란 전망이다.

이와 반대로 65세 이상 고령자 1명당 15~64세 생산가능인구는 3.5명으로, 2045년에는 1.1명으로 급속히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0~14세 유소년 인구 100명당 65세 이상의 노령자 수를 의미하는 노령화지수는 2000년에는 9.9명이었지만 현재는 162.6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라면 2045년에는 무려 483.4명으로 급격히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다.

결국 단순히 늙어만 가는 게 아닌 저출산과 인구 유출 심화가 동반하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할 수 있다.

특히, 저출산 심화의 경우 전북만이 아닌 사회적인 문제지만 젊은 층의 탈 전북화가 지속되고 있는 만큼 이에 따른 여파는 타지역보다 더욱 심각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는 곧 지역의 경쟁력 약화를 의미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아이들의 울음 소리 대신 어른들의 쇳소리만 나는 전북.

노년부양비, 노령화지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현재 상황을 감안한 대안 정책의 수립이 속도를 내야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