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2단계 수질 대책에 대한 평가 용역 결과가 오는 9월에 나올 예정인 가운데 전북도가 새만금 수질 개선사업 연장을 주장하고 나서, 정부의 수용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는 소식이다.

새만금 내부개발이 계획보다 늦어지고 있는 만큼 목표 수질 달성 시기도 늦춰야 한다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전북도는 최근 “2단계 수질 대책은 73%의 내부 개발 계획에 맞게 수립됐지만, 현재 개발은 38%에 불과하고 새만금호 내부 환경대책은 내년 착공도 어려운 실정”이라고 공개했다.

개발 수준과 환경 개선 여건 등을 고려할 때 올해 목표 수질 달성이 어렵기 때문에 개선사업을 추가로 해야 한다는 주장인 것이다.

도는 변화된 여건을 고려하고 2단계 수질 대책 효과를 정밀 점검해 범정부 차원의 3단계 수질 개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도는 이 같은 내용을 정부에 건의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오는 9월까지 그동안 수질 대책을 종합 평가하는 한편 향후 수질 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용역을 진행할 방침이라고 밝힌 바 있다.

새만금 수질 개선을 위해 정부는 그동안 2001~2010년까지 1단계로 1조4568억원, 2단계인 2011~2018년까지 2조6253억원을 각각 투입해 왔다.

이를 통해 전체 예산의 95%가량을 투입한 새만금 상류 만경강, 동진강, 전주천, 익산천의 수질은 3급으로 개선됐다.

문제는 새만금 일부 농업용지와 도시용지 수질은 4∼6급으로 당초 목표했던 수질 3∼4등급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개발과 수질대책이 계획대로 추진되지 않은 상황에서 수질목표 달성 여부만을 따지는 것은 타당치 않다는 논리다.

당장 담수화냐 해수유통이냐 등의 결정은 수질대책을 좀더 촘촘하게 진행한 뒤 진행되어야 한다는 게 도의 입장이다.

환경단체는 새만금호 수질 평균이 6등급에 육박하고 있다며 해수유통을 결단하라고 도를 압박하고 있는 상황이다.

4조원이 넘는 막대한 예산을 쏟아 붓고도 수질을 잡지 못했다는 비난도 받고 있다.

산 몇 개를 헐어 바다에 집어 넣고 땅을 만드는 단군 이례 최대의 국책사업이다.

몇 년 사이 금세 맑은 물이 흐를 것이라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돈도 돈이지만 그에 못지않게 시간을 필요로 하는 사업인 것이다.

2018년까지 진행됐던 정부의 2단계 수질 대책 효과에 대해 정밀 점검을 벌인 뒤 새만금 내부개발 계획이 당초보다 늦어지고 있는 변화된 여건을 고려, 3단계 수질 대책이 추진되어야 함이 합당하고, 이는 멀지 않은 미래 전북의 이익과 부합할 것이란 생각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