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음식시학총서 '밤새 콩알이 굴러 다녔지'
전북출신 유강희-안도현-이병초 참여 눈길

우리 식생활과 가장 밀접한 곡식 중 하나가 콩이다.

우리네 어머니 그리고 그 어머니의 어머니들은 콩으로 된장과 고추장을 담갔고 간장을 우려냈다.

콩나물을 길렀고 콩고물을 만들어 국수에 말아 먹으며 여름을 지냈고, 두부를 만들고 남은 비지로 장을 담갔다.

이처럼 콩은 우리네 식생활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였다.

콩을 소재로 문인들이 엮은 지역음식시학총서 1권 ‘밤새 콩알이 굴러다녔지’가 출간됐다.

책은 지역음식을 바탕으로 문인들이 저마다의 시를 차곡차곡 내놓으면서, 지역의 음식과 역사를 시로 남겨 그 명맥을 잇고자 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첫 번째 편으로 32명의 시인들은 경북 울진 지역의 콩과 음식, 문화유적지를 바탕으로 시집을 역었다.

최연택 일러스트는 서정적인 초록빛 그림으로 독자들의 눈과 마음을 정화하는 데 팔을 걷고 나섰다.

시집에 참여한 시인들은 우리네 고유음식문화가 뿌리를 잃지 않고 유구하게 이어지길 바라는 마음으로 참여했다.

특히 첫 번째 편의 주제인 콩은 우리 민족의 밥상에 자주 올라가는 음식 중 하나로서 유의미한 상징을 가지고 있다.

메주, 된장, 청국장, 간장, 두부, 콩나물, 콩자반 등 우리 문화에 익숙한 콩은 ‘콩 한쪽도 나눠 먹는다’, ‘단짝 콩’ 같은 언어를 통해서도 우리와 친숙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32명의 시인 중 완주 출신 유강희 시인, 전주 출신 이병초 시인 그리고 우석대 안도현 교수가 시집을 엮어 눈길을 끌고 있다.

안도현 시인은 “음식을 만들던 노인들이 돌아가시면서 이제 그분들이 만들었던 음식 맛을 아무도 재현할 수 없습니다. 그 음식에 우리의 문화의 총량이 들어 있지만 사람들은 늘 새로운 것만 좇으려 할 뿐입니다.”라고 안타까움을 표하며 이번 시집이 갖는 의의를 강조했다.

이장근 시인은 콩과 껍데기가 떨어지던 날 “난 된장 되고 넌 두부 되고/ 아니 그 반대가 돼도 좋으니까// 된장찌개 뚝배기에서 만나/ 보글보글 밀린 이야기 나누자”(「단짝 콩」)라고 말하며 ‘알콩달콩’한 정(情)을 표현하였다.

남효선 시인은 “먹을 양식이 턱없이 부족했던 시절/콩은 좁쌀보다, 보리쌀보다 더 소중한/식구를 살리고 후손을 만든 유일한 힘”(「구십 할미 콩 모종 다시 심는 까닭은」)이라고 말하며, 구십 할머니가 콩을 심는 이유를 ‘삶에서 우러난 슬픔의 힘’으로 인식하고 있다.

때문에 이 시집은 음식을 주제로 한 한 편의 시집이기보다는 한 지역과 음식에 대한 생태학적 보고서로도 그 가치가 부여되고 있다.

한국의 음식문화를 문학적으로 새롭게 만들고 그 음식 맛을 언어의 맛으로 전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조석창기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