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노사민정 상생형 일자리 모델로 관심을 모았던 광주형 일자리가 노동계 사업 참여 중단과 협약 파기로 자초위기를 맞으며 군산형일자리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건 아닌지 우려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군산형 일자리도 최근 참여기업들의 투자가 지연되면서 차질을 빚고 있기 때문이다.

전북도는 일단 문제가 없다는 입장.

현대자동차라는 대기업이 참여한 광주와 달리 군산형일자리는 중소·중견기업과 벤처기업이 주축을 이루고 있어 광주와는 성격이 다르다는 것.

하지만 크고 작은 기업들이 컨소시엄을 구축해 운영하다 보니,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는 게 사실이다.

실제 군산형 일자리는 GM 군산공장을 인수한 ㈜명신 컨소시엄과 완성차 업체인 ㈜에디슨모터스·㈜대창모터스·㈜MPS코리아로 구성된 새만금 컨소시엄이 두 축이다.

이들 업체는 부품업체 5곳과 손잡고 각각 옛 GM 군산공장과 새만금 산업단지에 2022년까지 4천122억 원을 투자해 전기차 17만7천여 대를 생산하고, 신규 인력 1천900여 명을 채용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그러나 군산형 일자리 사업의 한 축인 새만금 컨소시엄 참여 기업 ‘코스텍’과 ‘대창모터스’ 2곳이 과도한 부채 등을 이유로 지방투자촉진 보조금을 받지 못하게 되면서 올해 착공이 불투명한 상황에 놓여 있다.

군산형 일자리 모델은 당초 참여하기로 한 5개 기업이 올해 새만금 산단에 착공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어, 착공이 늦춰지면 일자리와 투자금 규모가 줄어들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코스텍은 투자비 마련을 위해 최근 공장 1곳을 매각해 투자보조금 지원 기준을 맞추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행 규정은 기존 공장을 팔면 1년 이내에는 이를 받을 수 없다.

대창모터스는 부채 비율이 과도하다는 점이 문제가 됐다.

대창모터스는 공장을 처분해 부채 비율을 줄일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이들 기업의 투자는 최소 1년 이상 미뤄질 수밖에 없게 됐다.

자금 조달 계획 등에 차질이 생긴다면 참여 자체가 불가능해질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외형 부풀리기를 위해 무리하게 함량 미달의 기업을 포함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마저 나오고 있다고 한다.

가지 많은 나무 바람 잘날 없다는 옛말이 있다.

컨소시엄으로 구성된 여러 기업간 불협화음과 일부 기업들의 과도한 부채, 거기에 광주형일자리가 가져온 부정적 악영향까지, 전기차 메카의 타이틀을 거머쥐는 일이 결코 순탄해 보이지 않는다.

한 발짝 더디 가더라도 제대로 가기위해 치밀한 부분까지 제대로 파악하고, 최악의 경우를 상정하는 등 군산형일자리사업의 추진에 고삐를 늦춰서는 안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