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공전을 거듭해오던 탄소 소재법 개정안이 지난 2017년 발의 후 3년여 만에 국회 문턱을 통과했다.

이에 따라 전북도는 미래 100년 먹거리인 탄소 융복합산업의 추진계획을 밝혔다.

도는 올해 연말까지 탄소 산업육성 종합계획을 수립해 탄소 소재 융복합산업의 중장기 계획을 마련하기로 했다.

지난해 8월 발표한 탄소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을 구체화해 5년간 진행할 프로젝트의 로드맵을 제시하고 과제를 발굴·추진키로 한 것이다.

아울러 탄소 소재 관련 전문기관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을 '한국탄소산업진흥원'으로 지정받아 육성할 방침이다.

당초 상임위 단계의 탄소 소재법 개정안은 '한국탄소산업진흥원을 둔다'라고만 되어있었다.

그러나 이번 개정안에는 '진흥원을 기존 탄소 소재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 중 하나를 지정·운영할 수 있다'란 조항이 추가됐다.

기존 법안이 단순히 진흥원 설치 조항만 담겼다면, 개정된 법안에는 그 진흥원이 어떤 형태로 지정하고, 또 어떻게 운영할지에 대한 근거 규정을 담은 것이다.

이번 개정안은 개정안 추진 당시부터 한국탄소융합기술원을 염두에 두고 추진한 사안으로, 현 기술원을 국가기관인 진흥원으로 승격시켜 운영할 수 있는 근거로 작용 될 전망이다.

개정안 통과로 진흥원이라는 국가 차원의 탄소산업 컨트롤 타워가 생길 가능성, 또 전북이 대한민국의 탄소산업을 견인할 전초기지가 될 가능성도 그만큼 높아진 것이다.

개정안 통과는 무엇보다도 탄소산업이 국가가 책임지고 육성하는 국가적 전략산업으로 인정받았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그 중심에 전북이 있다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점이다.

도내에는 세계 3번째로 T-700급 탄소섬유를 양산하는 효성과 한국탄소융합기술원, KIST 전북분원이 탄소 소재 R&D를, 전북대·원광대·전주대 등 3개 대학이 탄소 관련 학과를 개설해 인력을 양성해 오고 있다.

탄소 기업 집적화를 위한 국내 유일의 탄소 소재 국가산업단지도 지난해부터 전주시 팔복, 동산, 고랑동 일대에 조성되고 있다.

우리나라 탄소산업의 컨트롤 타워가 전북에 생기는 게 어찌 보면 당연한 환경들이 이미 만들어져 있었던 것이다.

“탄소산업의 씨앗을 뿌려 10년 넘게 가꾸고, 컨트롤 타워 건립을 위해 3년을 노력했다”고 밝힌 송 지사의 발언처럼 이번 성과는 결코 쉽게 얻어지지 않았다.

천신만고 끝에 얻은 이번 기회를 통해 전북이 대한민국의 탄소 산업의 메카로서,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미래 성장사업을 육성해 나갈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