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공익수당과 같은 농업과 농촌에 대한 지원은 결국 그 이익이 도민 모두와 미래세대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가치있는 투자다.”

이는 송하진 전북지사가 말하는 ‘농민 공익 수당’의 갖는 가치와 의미다.

농업과 농촌에 대한 지원은 부메랑이 되어 결국 먼 미래 몇십배, 몇백배로 우리 모두에게 돌아온다는 것이다.

농민공익수당은 도가 코로나19와 수해로 힘든 농민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기 위해 전국 최초로 제정한 농민 지원 수당으로 14개 시·군과 함께 10만6천여 농가에 60만원씩 총 637억원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도는 농민 공익수당 지원을 위해 그동안 농정협의체인 삼락농정위원회를 통해 2년여 동안 논의를 거쳐 왔다고 한다.

그리고 올해 공교롭게도 코로나19라는 위기상황, 또 기록적 폭우 등 수해 위기가 겹쳤고 ‘불행 중 다행’으로, 절묘하게 수당지원의 첫 결실을 맺게 됐다고 한다.

이번 지급으로 인해 농업 농촌의 공익적 가치를 인정하는 상징적인 의미와 함께 코로나19로 어려운 농촌 경제에도 적지 않은 도움이 될 것이란 기대감이 높다.

애초 도는 오는 11월 지급할 예정이었으나 추석 전에 지급해 코로나19와 수해로 힘든 농민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기 위해 조기 지급 방침을 세웠다고 한다.

공익수당은 상품권과 선불카드 등 지역 화폐로 지급되기 때문에 선순환 지역경제 구조 형성과 함께 소상공인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올해는 국가 직불제인 쌀·밭·조건불리직불제가 기본형 공익직불제로 개편·통합되면서 지원 단가가 ㏊당 최대 205만원으로 상향된다.

이에 따라 국가, 전북도, 14개 시·군에서 직불성 사업으로 약 4천845억원이 지원될 예정이라고 한다.

지난 2019년 통계청 발표 상의 도내 9만5천농가를 기준으로 비교할 때 농가당 평균 511만4천원이 지원되는 셈이다.

예부터 전북을 농도(農道)라 불렸던 이유는 기름진 땅이 많고 척박한 땅이 적어 농작물이 잘 자랐기 때문이다.

그래서 금만(金萬)평야 곡창지대라 불렸다.

조선시대 이순신 장군은 약무호남 시무국가(若無湖南 是無國家)라 일컫기도 했다.

이 말은 직역하자면 “호남이 없으면 국가도 없다”는 뜻이지만, 후대의 사가들은 전라도의 군량미 조달에 힘입어 왜적과의 싸움에서 이길 수 있었다는 뜻으로 해석하는 이들이 많다.

그만큼 농업과 농촌은 조선시대부터 나라를 지키는 일에 이바지 했고, 지금도 전 국민들의 밥상문화를 책임지는 공익적 가치를 다하고 있는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