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병기 교수 '사라진 비문을 찾아서'

문맥-문법-글씨체를 통해 변조 증명
기존 일본 역사연구법 벗어난 연구제시

광개토태왕비문의 신묘년 기사는 고구려의 입장에서 백제와 신라를 고구려와 동일 민족관계에 있는 ‘속민(屬民)’으로 보고 기록한 문장이므로 백제와 신라를 다시 동일 민족 관계가 아닌 신민‘(臣民)’으로 칭해야 할 이유가 없다.

따라서 신묘년 기사의 ‘신민’은 고구려의 입장에서 왜(일본)를 칭한 말이며, 이 기사의 원래 문장은 당연히 ‘고구려가 왜를 고구려의 신민으로 삼았다’이다.

서예학자 김병기 교수가 증보하여 펴낸 '사라진 비문을 찾아서-글씨체로 밝혀낸 광개토태왕비의 진실'의 핵심 내용이다.

지금까지 아무도 주목하지 않은 ‘속민’과 ‘신민’의 확연한 의미 차이를 밝혀 이런 해석을 내놓은 것이다.

이어, 김 교수는 일본이 변조한 ‘도해파(渡海破: 왜가 바다를 건너와 백제와 신라를 깨부쉈다)’ 세 글자의 변조 전 원래 글자는 ‘입공우(入貢于: 왜가 백제, 가야, 신라에 조공했다)’였음을 글씨체를 분석하는 서예학적인 방법으로 증명하였다.

광개토대왕비의 필획과 결구의 특징을 서예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안목을 갖춘 김 교수가 선택한 획기적 방법이다.

광개토태왕비문의 글씨 자체가 빼어난 서예 작품이므로 서예학적인 방법으로 연구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데 그동안 우리 학계는 이런 시도를 한 적이 없다.

김 교수는 또 일제가 제시한 ‘래도해파(來渡海破)’구에 대해 한중일 어디에서도 고대에나 지금이나 ‘도래(渡來)’라는 단어만 사용해왔을 뿐 ‘래도(來渡)’라는 용어를 사용한 예는 전무함을 확인함으로써 이런 구절을 제시한 자체가 변조의 증거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장수왕이 아버지 광개토태왕의 훈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에 본래 고구려의 속민이었던 백제와 신라를 왜가 깨부숴 그들의 신민으로 삼았다는 치욕적인 내용을 왜 새겨 넣었겠느냐?”면서, 일부 학자가 제시한 “백제와 신라를 깨부술 정도로 매우 강력했던 왜를 후에 고구려가 제압했음을 기록하는 방식으로 광개토태왕의 무공을 기리기 위한 것”이라는 주장을 근거 없는 개인적 ‘상상’일 뿐이라며 통렬하게 비판했다.

아울러, 일제가 가져간 최초의 탁본인 ‘사코본’ 이전의 탁본이 발견되었다는 중국학자 서건신의 논문에 대해서도 ‘신발견 탁본’의 모순과 허구성을 들어 조목조목 비판했다.

이어, 김병기 교수는 현재의 광개토태왕비 연구는 대부분 각종 탁본의 글자를 대조한 후, ‘내 눈에는 이 글자로 보인다’면서 ‘주관적인’ 판독을 제시하고, 그런 판독의 타당성을 증명하기 위해 한, 중, 일의 고대사 자료를 자신의 판독에 유리한 방향으로 인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이러다 보니 비문의 원래 문장에 충실한 해독을 하지 않고 오히려 후대의 역사서, 심지어는 ‘일본서기’의 내용에 맞춰 비문을 왜곡 해석하는 기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염려하면서 이제는 일제가 쳐놓은 왜곡된 ‘실증주의’ 역사연구법의 덫에서 벗어나 우리의 역사를 우리의 시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