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특위 "원자력안전위
정밀조사 배제한채 평가마쳐
안전성-운행 모든 사항 공개
정부방재 인프라 구축해야"

전라북도의회 한빛원전 대책 특별위원회 관계자들이 2일 전북도의회 브리핑룸에서 '한빛 3호기 재가동 계획 철회' 관련 기자회견을 갖고 질의에 답변을 하고 있다./이원철기자
전라북도의회 한빛원전 대책 특별위원회 관계자들이 2일 전북도의회 브리핑룸에서 '한빛 3호기 재가동 계획 철회' 관련 기자회견을 갖고 질의에 답변을 하고 있다./이원철기자

안전성 논란이 일고 있는 전남 영광 한빛원전 3,4호기 재가동 계획을 놓고 지역 정치권 반발이 잇따르고 있다.

특히 전북은 정부가 설정한 방사선비상계획 구역인데도 불구하고, 한빛 원전 안전과 관련해 부당한 처우를 받고 있어 도민들의 반발 심리는 더욱 크기만 한다.

전북도의회 한빛원자력발전소 대책 특별위원회(이하 한빛원전 특위)는 2일 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안정성을 담보하지 못한 한빛원전 3호기 재가동 계획을 철회하라”라고 촉구했다.

한빛 3,4호기의 경우 국내 전체 원전 공극의 80%, 철근 노출부의 48%를 차지할 만큼 안전성이 취약하다며 주민들의 불안감이 해소될 때까지 가동을 멈춰야 한다는 것이다.

한빛원전 특위는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정밀조사를 배제한 채 평가를 마무리하고 정비계획까지 승인해 원전 인근 주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며 이같이 요구했다.

앞서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지난 9월 한빛원전 3·4호기 공극(구멍)과 관련해 시공사의 부실 공사로 공극이 발생했으며 한빛 3호기 안전성 평가 결과 구조건전성에는 이상이 없다고 발표했다.

한빛원전 특위는 “한빛원전의 부실 시공은 내부철판 부식, 공극 발견 등을 통해 충분히 확인된 만큼 시공 참여기관들은 근본적 대책을 마련하라”라고 요구했다.

또 한빛원전 안전성 및 운행에 관련한 모든 사항의 공개와 주민 의견 반영, 정부의 방재 인프라 구축 등을 주문했다.

1995년 준공된 한빛원전 3호기에서는 124개의 공극이 발생했다.

한국수력원자력 한빛원자력본부는 공극 보수를 마무리하고 3호기의 재가동을 추진하고 있다.

그동안 전북과 전남은 똑같은 방사선 피폭 위험지로 묶여 있음에도 전남권만 방재사업을 집중 지원하고 있어 정부 지원에서 배제돼 왔다.

실제로 연간 약 400억 원대로 예상되는 지방세를 전액 영광군, 장성군, 무안군, 함평군 등 전남권 방사선 피폭 위험지역(EPZ·원전반경 30㎞)에만 배분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똑같은 EPZ에 포함된 고창군과 부안군은 단 한 푼도 배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자연스레 고창 부안지역 피폭 대책이라곤 이렇다 할 게 없는 상황이다.

고창 부안지역 EPZ 거주자만도 무려 6만5,390여명, 즉 전남권 전체 EPZ 인구와 거의 같다는 게 무색할 지경이다.

이에 전북도는 동등한 지원과 사고 발생시 보다 신속하고 자세한 설명 등을 요구해왔으나 지켜지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이번 안전성 논란이 일고 있는 전남 영광 한빛원전 3,4호기의 재가동 계획이 알려지면서 지역민들의 불안감과 불신이 커져가고 있다.

/박정미기자 jungmi@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