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방대 수시 이월인원
올해 3만2,330명 48.2% 늘어나
2021년도 수능 응시 역대 최소
2024년 입학인월 38만4천명 전망
대학들 신입생모집 어려움 호소
도내 수시 충원율 평균 65.5%
정시경쟁률 2.31대1 크게 하락
서울권 경쟁률 5.1대1 절반 차이
학령인구감소-수도권쏠림 심화

도내 대졸 취업률 60.4%
32만3,038명 졸업생 중 67.1%
수도권 취업률비 매년 격차
전문대 72.2% 재작년비 1.6%↑
대학원 83% 재작년비 2.5%↑

"전국 벚꽃지도순 대학 망할것"
수험생 중복 원서 따질 경우
경쟁률 더 떨어져 결국 미달
사립대 등록금 의존도 커
재정위기 학생 피해 이어져
정부 지역균형발전 시급
정원충원률 지원 지방 역차별
기업체 지역인재채용등 필요

지방대학의 위기가 어제 오늘 일이 아닌 것이 2021학년도 대입 정시모집에서 극명한 수치로 나타나 또 다시 벼랑 끝에 몰리지 않을까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갈수록 학령인구 감소 추세로 결국은 수도권 쏠림으로 서울권 대학만 살아남는 반면 신입생 모집에 난항을 겪는 지방대는 결국 존폐 위기를 겪을 수밖에 없는 구조상 난항에 직면해 있다.

특히 지방대의 신입생 충원 미달이나 이탈은 충원율 감소로 끝나지 않고 지방대를 넘어 지역사회 전체의 위기로 확산될 수 있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벌써부터 대학가에선 ‘벚꽃 피는 순서대로 대학이 망한다’는 말이 나돌고 있다.

이는 수도권과 먼 지역대학부터 차례대로 문을 닫을 것이라는 지방대의 현실을 빗댄 이야기다.

이를 통해 학교 재정의 대부분을 등록금에 의존하는 지방 사립대의 경우 특히 존폐 위기설까지 제기되는 것은 지나친 말은 아니다.

이처럼 등록금이 줄면 대학의 질이 떨어지고 학생들의 피해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거듭되면서 지방대 존폐 위기가 현실화될 수밖에 없다.

지방대가 이런 위기를 극복키 위해선 자체 노력만으로 해결키는 사실상 한계점이 있는 만큼 정부와 교육당국, 지역사회가 관심을 갖고 대안을 모색해 지원해야 한다.

이에 전북지역 대학들의 2021학년도 대입 정시모집 경쟁률 하락을 비롯한 신입생 수시-정시모집 충원율 미달 또는 이탈, 중앙에 비해 일자리 창출 등 열악한 지역경제 구조상 빚어진 대졸자 취업률 하락 문제 등을 짚어봤다.

/편집자주

 

 

▲지방대 신입생 충원 위기 가시화…수시모집 이월 인원 대폭 증가

2021학년도 대학입시에서 지방대를 중심으로 수시모집 이월 인원이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지방대 위기가 가시화되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전문 입시업체들에 따르면 올해 대입 정시모집에서 지방대 가운데 계획한 신입생 모집 인원을 채우지 못하는 곳이 적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종로학원하늘교육이 올해 수시에서 미충족 등으로 모집인원이 정시로 이월된 인원을 분석한 결과, 지방대 사이에서 이월인원이 대폭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방대 같은 경우 수시 이월 인원이 지난해 2만1,818명에서 올해 3만2,330명으로 48.2%(1만512명)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서울권 대학이 2,592명에서 2,674명으로 3.2%(82명) 증가한 것과 대비하면 격차가 큰 편에 속한다.

대학가에선 이월 인원 증가는 학생 수 감소가 미친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지난해 12월 치러진 수능에서 실제 시험 응시 인원은 총 42만1,034명으로 역대 최소 규모였다.

한 입시 전문가는 "전년도(2020학년도)보다 13% 줄어든 수치이다”면서 “지방대는 정시도 경쟁률이 더 떨어지고 모집정원을 채우기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더욱이 학령인구 감소 영향에 따라 대학 입학가능 인원 감소도 계속될 전망이다.

입학가능 인원은 해당 연도에 재수생 등을 포함해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 중 대학 진학 의사가 있는 인원을 말한다.

지난해 대학교육연구소는 오는 2024년 대학 입학가능 인원이 38만4,002명으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구체적으론 지난해 45만7,477명과 비교하면 5년 만에 16.1%(7만3,475명)가 감소하는 셈이다.

이처럼 신입생 모집에 빨간불이 켜지면서 지방대들은 신입생을 대상으로 장학금 지급에 나서거나 지원자를 대상으로 경품 응모 이벤트를 여는 식으로 신입생 모집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실례로 원광대는 최초 합격자 전원에게 장학금 50만원 지급, 신입생 1년간 기숙사 입사보장 등 신입생 혜택을 제시해 눈길을 끌었다.

이처럼 대학마다 존폐 위기 극복을 위해 자구책을 찾고 있지만 대학 구성원 사이에서는 학령인구 감소를 마주한 현재 지방대 상황을 위기라고 보는 인식이 팽배하다.

실제 전국대학노조가 지난해 11월부터 한 달간 일반대·전문대 등에서 근무 중인 조합원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 857명 가운데 95.9%(822명)가 현재 대학이 위기라고 응답했다.

설문내용 중 어떤 점에서 대학이 위기인지 묻는 문항(복수응답)에는 79.6%(662명)가 '학생모집 어려움'이라고 가장 많이 꼽았다.

더욱이 위기 원인(복수응답)으로는 75.8%(628명)가 학령인구 감소를 꼽았다.

김병국 전국대학노조 정책실장은 "이 같은 현실 상황을 종합해 분석해 볼 때 향후 지방대 신입생 모집은 해가 갈수록 더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대학 정원을 줄이고 있지만 등록금 수입 감소를 우려해 무조건 줄일 수도 없는 상황이다”고 밝혔다.

여기다 올해의 경우 코로나19 장기화 여파로 대학에서 원격수업이 진행되는 등 정상적인 학사운영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중도이탈 신입생이 늘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어서 지방대 경영 위기가 복잡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전북지역 4개 대학 수시 충원율 평균 65.5% 보여

전북지역 4개 대학들의 수시 입학 평균 충원율이 65.5%를 보이고 있다.

먼저 전주대가 88%로 충원율이 가장 높았다.

작년 충원율은 89%로 전년 대비 근소한 차이로 감소했다.

미충원 인원 329명을 포함한 615명을 정시로 선발한다.

이어 군산대의 올해 수시 충원율은 81.8%다.

군산대는 기존 415명에서 미충원 인원 265명이 늘어 680명을 정시로 모집한다.

또 전북대의 수시 충원율은 올해 79%로 작년 87% 대비 하락했다.

전북대는 수시모집 미충원 인원 490명을 더한 1,885명을 정시로 선발한다.

또한 원광대의 올해 수시 충원율은 70%로 나타났다.

원광대는 미충원 인원 939명을 추가한 1,423명을 정시로 모집한다.
 

 

▲전북지역 주요 4개 대학 평균 정시모집 평균 경쟁률 2.31대 1, 전년 대비 큰 폭 하락

전북지역 4년제 대학 2021학년도 정시모집 평균 경쟁률이 2.31대 1로 지난해 3.85대 1보다 큰 폭으로 하락하는 일이 벌어졌다.

특히 도내 사립대를 포함 일부 국립대마저 경쟁률이 절반 가까이 떨어지는 충격적인 결과에 신입생 미충원 사태도 예고될까 우려된다.

전북지역 4년제 대학교들은 지난 12일 정시모집 경쟁률을 발표했다.

전북대는 1,885명 모집에 5,979명이 지원한 3.1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역거점 국립대로 그나마 전년(3.87대 1) 대비 0.6%로 소폭 감소했다.

군산대는 올해 681명 모집에 1,117명 지원으로 1.6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해 전년(3.22대 1)대비 1.51%가 감소해 2대 1 이하로 크게 떨어졌다.

전주대는 738명 모집에 1,690명이 지원해 2.29대 1 경쟁률로 전년(4.23대 1)에 비해 1.94% 하락했다.

원광대는 1,506명 모집에 3,223명이 지원한 2.14대 1 경쟁률을 기록해 전년(4.08대 1) 대비 역시 1.94% 감소했다.

이처럼 전북대를 제외한 도내 4년제 대학교들의 정시모집 경쟁률 하락폭은 절반에 가까운 수치다.

전북지역 각 대학 학과별 경쟁률을 살펴보면 전북대는 수의예과가 13.44대 1로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어 항공우주공학과(6.76대 1), 도시공학과(5.86대 1), 행정학과(5.93대 1)로 집계됐다.

군산대는 간호학과 6.78대 1, 컴퓨터정보통신공학부(컴퓨터정보공학전공) 4.64대 1, 체육학과 4.42대 1 등 순으로 나타났다.

원광대는 치의예과(인문)가 13.75대 1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였으며, 한의예과가 10.2대 1로 뒤이었다.

더욱이 수도권 대학과의 격차도 크게 나타났다.

종로학원하늘교육에 따르면 올해 서울권 경쟁률은 5.1대 1, 수도권은 4.8대 1로 나타났으나 지방권은 절반에 가까운 2.7대 1로 큰 격차를 보였다.

또한 현재까지 발표한 도내 4개 대학들의 평균 경쟁률(2.31대 1)은 서울·수도권과 대비할 시 절반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도내 대학 입학 관계자들은 대체로 ‘학령 인구 감소’ 및 ‘수도권 쏠림 현상’을 주요 원인으로 분석했다.

전주대 입시관계자는 “학령인구 감소에다 코로나19까지 겹치며 대학 지원 인원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여전히 수도권 대학 쏠림 현상이 여전히 심각한 상황이라 지방대 정시에서도 신입생을 채우지 못하는 상황이 만들어질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전북 대졸자 취업률 60.4% 전국 평균 이하 수준 심각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이 공개한 2019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에 따르면 2020년 전북지역 대학교 졸업자의 취업률은 60.4%로 전국 평균(63.3%)보다 2.9%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도내 고등교육기관, 전문대학, 일반대학원의 졸업자의 취업률은 재작년보다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이 조사는 전국 대학과 일반대학원의 2018년 8월·2019년 2월 졸업자 55만 354명을 대상으로 추진돼 지난해 12월 31일을 기준으로 취업·진학 여부 및 급여수준, 취업 준비기간 등을 파악했다.

2019년 취업률은 전년(67.7%)대비 0.6% 감소한 67.3%다.

취업자는 32만 3,038명으로 졸업생 중 취업대상자 48만 1,599명의 67.1%를 차지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취업률이 매년 더 커지고 있다.

2019년 수도권 취업률은 68.7%, 비수도권 취업률은 66%로 2.7% 차이를 보였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취업률 격차는 2017년 2.1%, 2018년 2.2%로 매년 커지고 있다.

특히 전북의 경우는 재작년 대비 대학 졸업자의 취업률이 소폭 감소했다.

2019년 전북지역 대학 졸업자 취업률은 60.4%이며 2018년(60.8%)대비 0.4% 감소했다.

수도권(66.6%)과 대비할 때 6.2%, 전국 평균 취업률(6.3%)과 대비할 시 2.9% 감소했다.

반면에 고등교육기관, 전문대학, 대학원은 오히려 상승세를 보여 취업률은 재작년(65.7%) 보다 0.1% 상승한 65.8%로 나타났다.

전문대학 취업률은 72.2%로 재작년(70.6%)보다 1.6% 상승했다.

일반대학원은 83%로 재작년 (80.5%)대비 가장 높은 2.5%로 나타났다.

취업 분야별로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29만 1,929명, 국외취업자 2,853명, 1인 창업자(사업자) 6,137명, 프리랜서가 1만 8,347명 등이다.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비율은 작년 대비 1.2% 상승했으며 프리랜서는 0.1% 하락했다.

▲‘벚꽃 피는 순서대로 대학이 망한다’ 정부-교육당국-지역사회, 관심 갖고 지방대 위기 근본 해결대책 마련해야

이미 대학가에선 ‘벚꽃 피는 순서대로 대학이 망한다’는 말이 만연하다.

서울과 먼 지역의 대학부터 차례대로 문을 닫을 것이라는 지방대의 현실을 빗댄 이야기다.

종로학원하늘교육이 전국 206개 4년제 대학의 올해 정시모집 지원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수도권은 평균 경쟁률 4.8대 1인 반면 지방대학은 2.7대 1로 나타났다.

지역거점 국립대조차 대부분 지난해보다 경쟁률이 떨어져 평균 3대 1을 겨우 넘는 수준이다.

정시에선 수험생이 가·나·다군에서 1곳씩 모두 3번 원서를 낼 수 있다.

중복으로 합격한 학생들이 다른 대학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고려하면 정시에서 평균 경쟁률이 3대 1이 되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미달’로 간주된다.

학령인구 감소로 대학 경쟁률이 떨어질 것이란 예상은 했지만 결국 지방대에 집중된 셈이다.

대학 정원 미달은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는 데 대학 재정의 대부분을 등록금에 의존하는 지방 사립대의 경우 존립마저 위태로운 상황이다.

등록금이 줄어들게 되면 교수 채용이나 실험 실습 장비 구입 등 교육 여건이 더욱 악화되고 이는 곧 대학의 질이 떨어지고 학생들의 피해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전주대 입시 관계자는 “학령 인구감소 탓에 이미 오래 전부터 신입생 모집에 난항을 겪을 것을 예상은 하고 있다”면서 “향후 취업에 유리한 경쟁력있는 학과만 살아남고 그렇지 않은 과들은 도태될 수밖에 없고 신입생 충원 부족 사태로 지방대의 어려움이 더욱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지방대 위기는 자구노력만으로 해결이 어려운 상황으로 정부 차원에서 국가균형발전과 연계해 지방대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대책마련이 절실하다.

이처럼 지방대의 소멸 위기감이 장난이 아닌데 학생들이 수도권을 선호하는 이유는 지역불균형 문제가 잔재돼 있기 때문이다.

실제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모든 분야가 수도권에 집중됐으며, 더욱이 좋은 일자리마저 수도권에 몰려 있는 실정이어서 지역의 우수한 인재들이 수도권으로 빠져나갈 수밖에 없는 사회구조다.

이를 해소키 위해 역대 정부가 국토균형발전을 외치며 다양한 정책을 시도했지만 기대효과 없이 여전히 수도권 집중 심화 상황은 반복되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지방대생은 졸업과 동시에 양질의 일자리를 찾아 서울 등 수도권으로 떠난다.

더욱이 학령인구 감소로 수도권 대학만 살아남고, 신입생 모집에 난항을 겪는 지방대는 폐교를 가속화할 것이란 의견이 지배적이다.

여기다 정부는 정원 충원율로 대학을 평가해 재정을 지원하는 데 사실상 수도권에 비해 여러모로 열악한 지방대의 경우 평가 자체가 높게 나올 수 없는 구조여서 역차별을 받는 게 실상이다.

따라서 지역의 공공기관 기업체의 지방대생 우선 채용 등 지방대의 경쟁력을 키우는 해법 마련과 정부와 교육당국, 지역사회가 관심을 갖고, 지방대의 효율적인 상생 육성방안을 강구하며 뾰족한 해결 대안을 마련해 적극 지원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정병창기자 woojuchang@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