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선하 '할머니의 이불장'··· 자개 이불장
용호랑이 수놓은 베개 등 통해 전통문화 소개

한때 집집마다 자리했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차 사라지는 물건들이 있었다.

나전 기법, 즉 광채가 나는 자개 조각을 여러 가지 모양으로 박아 넣거나 붙여서 만든 이불장도 그중 하나다.

자개 이불장은 여전히 사용되고 있지만 일상적으로 접하기는 어려운 물건이다.

지금의 어린이들은 물론 앞으로 올 어린이들이 자개 이불장을 실제로 볼 기회는 점점 줄어들 것이다.

때문에 우리의 전통문화를 기록하는 일은 그만큼 가치가 있다.

작가 양선하가 자개 이불장 고증에 힘쓴 이유도 이 때문이다.

‘할머니의 이불장’에 나오는 이불장은 작가가 직접 본 이불장을 포함, 최근에도 사용되고 있는 전국 곳곳의 이불장과 자개 문갑을 여러 경로로 수집해 재현한 이미지이다.

여기에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서울공예박물관,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등의 나전칠기, 목가구 유물을 참고하여 이불장의 무늬를 구성했다.

자개 이불장의 보편적인 이미지를 담아내고자 한 작가의 노력 덕분에 이 책은 자개 이불장을 실제로 본 적 없는 어린이들에게 생생하게 그 이미지를 전달한다.

또한 성인 독자는 한 번쯤 본 적 있는 오래된 이불장에 대한 추억을 떠올릴 수 있다.

자개 이불장에 대한 사실적인 정보는 다른 매체를 통해서도 접할 수 있지만, 오직 그림책만이 가지는 힘이 있다.

‘할머니의 이불장’은 독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를 통해 전통문화에 대한 정보를 친근하게 전달하기 때문이다.

이 책의 주인공인 윤이와 준이가 이불장에서 쏟아진 이불을 헤집으며 다양한 이불을 감각하고, 흥미진진한 상상 놀이를 펼쳐 간다.

용과 호랑이가 수놓아진 베개, 장미꽃이 화사하게 피어 있는 담요, 대나무 숲이 펼쳐지는 누비이불, 물고기가 펄떡이는 모시 이불, 꽃 무더기가 펼쳐진 차렵이불, 무지개가 화사하게 펼쳐지는 색동 솜이불 등은 두 아이의 신나는 놀이 배경이 된다.

호기심이 많고 행동에 망설임이 없는 윤이와 신중하고 조심스럽지만 기꺼이 놀이에 동참하는 준이의 모습은 이야기의 재미를 더한다.

이렇듯 이불을 매개로 신나는 놀이가 펼쳐지는 동안 독자는 자연스럽게 두 아이의 모험에 동참하게 되며 소재도, 무늬도 다 다른 이불들에 친근감을 느끼게 된다.

한바탕 놀이가 끝난 뒤, 이어지는 결말도 눈여겨볼 지점이다.

윤이와 준이는 할머니의 물건을 흩트렸다고 야단을 맞는 대신, 가족들과 함께 이불들의 볕바라기를 진행한다.

세월이 묻어 있는 이불들과 한바탕 신나게 놀고, 햇볕에 잘 마른 보송보송한 이불을 덮고 잠자리에 드는 장면에는 전통문화에 대한 애정과 어린이들의 놀이를 응원하는 작가의 마음이 담겨 있다.

작가는 "한 겨울에 태어나 푹신하고 보드라운 이불을 좋아한다. 포근한 솜이불 속에서 곰실곰실 이야기를 생각하고 그림들을 떠올리는 시간이 즐겁다"며 "이번 책은 직접 쓰고 그린 첫 그림책이다. 마음속에 좋아하는 이불과 베개를 간직한 이들과 나누고 싶다"고 밝혔다.

전주 출신으로 대학에서 한국화를, 대학원에서 동양미술사를 전공한 양선하 작가는 자신이 직접 본 이불장은 물론,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전국 곳곳에 있는 ‘할머니의 이불장’ 이미지들을 수집해 그림책 장면을 구성했다.

덕분에 어린이 독자에게는 사라져 가는 전통문화를 친근하게 접하는 기회를, 성인 독자들에게는 한 번쯤 본 적 있는 오래된 이불장에 대한 추억을 선사한다.

이화여자대학교 미술학부에서 한국화를, 동 대학 인문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동양미술사를 공부했다.

국립중앙박물관 전시과 연구원, 한국고고미술연구소의 간사로 일했다.

/조석창기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