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석창 문화교육부장
/조석창 문화교육부장

코로나19가 잠잠해지면서 도내 문화예술계도 잰 걸음이다. 코로나로 인해 조용하다시피 했던 문화계에 다양한 공연과 행사가 진행되면서 코로나 이전의 상황으로 되돌아간 것이다. 그동안 숨죽였던 공연계는 지난날 몸을 풀지 못했던 한을 보상이나 받으려는 듯 아주 활기찬 모습을 띠고 있다. 공연이 재개되니 각종 공연물들이 봇물처럼 쏟아졌고, 공연장을 잡지 못한 단체들의 행복한 비명 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려오고 있다.

코로나란 예기치 못한 복병을 만나는 바람에 지난 2년여는 사람 사는 모습이 아니라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사람들은 모이지 못했고, 행사는 줄줄이 취소됐다. 먹고 사는 문제에 접한 문화예술인들은 생계를 위해 다른 일을 해야 했다. 평소 아무렇지도 않게 지냈던 평범한 일상이 얼마나 소중한 일상이었는지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교훈도 남겼다.

공연계가 바빠지나 덩달아 바빠지게 됐다. 퇴근 후 집에서 의미 없는 TV 시청보다 백 번 낫다는 생각으로 공연장을 찾았다. 어느 공연이든 의미 없는 공연은 없다. 해당 단체는 작품 하나를 무대에 올리기 위해 자신들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해 작품 안에 녹여내고, 관객과 소통을 하려는 노력을 엿볼 수 있다. 때문에 공연의 질이나 수준을 논하기 앞서 공연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여기에 관객과 공감하며 관객의 마음을 움직였다면 더욱 금상첨화다.

코로나가 잠잠해지면서 평범한 일상이 다시 되돌아왔다. 공연계는 유독 청년들의 활동이 눈에 띤다. 어느 세대보다 역동적인 잠재력을 가졌건만 그동안 코로나로 인해 억눌렸을 것이라 짐작이 될 정도다. 이들의 활약은 장르를 가리지 않은 채 눈부신 활약을 하고 있다. 기성세대들은 꿈도 꾸지 못한 새롭고 신선한 시도를 비롯해 이들만의 시선으로 풀어가는 전통공연도 만날 수 있다. 비록 기성세대처럼 무르익지는 않았지만 청년들의 풋풋하고 신선한 도전에는 아낌없는 박수를 보내고 싶을 정도다. 또 이들이 성장해 도내 문화예술계를 이끌어갈 재목이 된다는 생각을 하면 마음까지 든든해지기 마련이다.

하지만 과유불급이라 했던가. 일부이긴 하지만 청년예술인들의 몇 몇 작품들이 눈에 거슬리기 시작했다.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한 위안부나 3.1운동 등을 소재로 삼고 있는 작품들이 공통점이다. 심지어 어떤 작품은 공연을 보는 내내 불쾌감까지 던져줬다. 

눈에 거슬리고 불쾌감까지 느낀 이유는 딱 하나다. 작품에 대한 고민을 찾을 수 없다는 점이다. 

위안부 문제나 3.1운동 등의 이야기는 어찌 보면 이제 흔한 소재가 됐다. 영화관에서도 쉽게 만날 수 있고 TV를 켜도 드라마 등에서도 다루고 있다. 매체가 발달할수록 이런 이야기를 담은 작품들의 수는 더욱 많아지는 모양새다.

하지만 중요한 점을 간과하는 듯하다. 분명 흔한 소재가 된 것은 맞지만 그렇다고 절대로 가벼운 이야기는 아니란 점이다. 위안부나 3.1운동 등은 우리 민족의 아픔과 애환이 서려있는 가슴 아픈 역사다. 아픈 역사를 이겨내고 새로움을 향해 나아가기 위해서 항상 마음 한쪽 어딘가에 담아둬야 할 이야기이다. 

작품 소재로 이런 이야기를 다루기 위해선 매우 신중한 태도가 필요하다. 이들의 아픔을 관객에게 충실히 전달해야 하고 이를 위해선 이들의 아픔을 느낄 수 있는 연륜과 공감대가 전제조건이다. 다양한 매체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소재란 이유로 쉽게 접근했다면 매우 큰 오판이다. 적어도 이런 소재를 다루기 위해선 심사숙고한 자세 뿐 아니라 조국을 위한 헌신이나 아픔 정도는 간접적이나마 느낄 수 있는 경험이 필요한 것이다.

과연 현 시대를 살아가는 청년예술인에게 이런 간접적 경험이 있는지 과감하게 묻고 싶다. 아니면 이런 소재를 무대에 올릴 수 있는 용기가 어디에서 나왔는지도 묻고 싶다. 이 질문에 답을 하지 못한다면 앞으로 이런 소재를 다루기 위해선 백 번 넘는 고민과 천 번 넘는 생각이 필요하다. 쉽게 다룰 수 있는 그런 이야기가 아니란 것이다. 

민족의 아픈 역사를 숨기자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과감한 노출을 통해 그날의 교훈을 찾아야 한다. 하지만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공연의 소재꺼리로 전락할 단순한 이야기가 아님을 강조하고 싶다. 

/조석창 문화교육부장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