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잠잠해지면서 도내 문화예술계도 잰 걸음이다. 코로나로 인해 조용하다시피 했던 문화계에 다양한 공연과 행사가 진행되면서 코로나 이전의 상황으로 되돌아간 것이다. 그동안 숨죽였던 공연계는 지난날 몸을 풀지 못했던 한을 보상이나 받으려는 듯 아주 활기찬 모습을 띠고 있다. 공연이 재개되니 각종 공연물들이 봇물처럼 쏟아졌고, 공연장을 잡지 못한 단체들의 행복한 비명 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려오고 있다.

코로나란 예기치 못한 복병을 만나는 바람에 지난 2년여는 사람 사는 모습이 아니라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사람들은 모이지 못했고, 행사는 줄줄이 취소됐다. 먹고 사는 문제에 접한 문화예술인들은 생계를 위해 다른 일을 해야 했다. 평소 아무렇지도 않게 지냈던 평범한 일상이 얼마나 소중한 일상이었는지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교훈도 남겼다.

공연계가 바빠지나 덩달아 바빠지게 됐다. 퇴근 후 집에서 의미 없는 TV 시청보다 백 번 낫다는 생각으로 공연장을 찾았다. 어느 공연이든 의미 없는 공연은 없다. 해당 단체는 작품 하나를 무대에 올리기 위해 자신들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해 작품 안에 녹여내고, 관객과 소통을 하려는 노력을 엿볼 수 있다. 때문에 공연의 질이나 수준을 논하기 앞서 공연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여기에 관객과 공감하며 관객의 마음을 움직였다면 더욱 금상첨화다.

최근 전북 무용계가 심상치 않다. 무용계 역시 그동안 코로나로 위축됐던 것을 털어내는 듯한 바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중 주목이 가는 점이 있는데, 바로 공연의 주제다.

이들이 최근 연달아 선보인 공연의 주제는 대부분 우리 역사적 인물 등을 소재로 한 우리네 이야기다. 대부분 창작무용이 미래지향적인 것을 감안하면 다소 이색적인 현상이다.

널마루무용단은 조선 의기 논개를 소재로 한 창작한국무용을 선보였고, 파사무용단은 정여립을 소재로 한 창작 현대무용을 선사했다. 이경호무용단은 조선 건국 정신을 기반한 작품을 제작하기도 했다.

우선 널마루무용단은 ‘논개, 충절지무-붉디 붉은 그대여’ 공연을 마련했다. 그동안 의기 논개를 소재로 한 이야기는 문학과 영화, 창극 등에서 다양하게 예술화됐다. 

특히 지난 2021년 약 20분 분량으로 장수 논개 제향에서 초연된 작품은 논개의 정신을 홀춤으로 만들고자 한 장인숙 명무의 제안에서 시작됐다.

이 공연은 소모적인 제작이 아니라 단단한 형식미를 갖춘 무용공연물로, 재공연을 통해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달려왔다.

파사무용단은 창작 현대무용 ‘여립-지워진 이름 정여립’을 선보였다. 이 무대는 혁명성을 지닌 사상가이자 동양의 위인으로 평가받고 있는 정여립을 소재로 현대무용과의 조류이자 역사적 인물 정여립을 재조명했다.

공연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전북의 역사 재조명을 통해 전북의 재발견과 함께 전북의 문화예술에 큰 울림으로 다가왔다.

이번 작품은 동학사상의 근간이 된 대동사상을 통해 한국 민주주의를 정립하려 한 전북의 인물 정여립을 재평가했다.

이경호무용단은 지난 7일 ‘킹덤1392 일월오봉도’를 선보였다. 첫 작품 ‘전라금척’ 이후 5년 만에 선보인 한국창작무용은 정신과 이념을 뜻하는 일월오봉도 즉 천지인 사상을 작품으로 하고 있다. 금척으로 조선을 건국하고 하늘의 이치 즉 인, 의, 예, 지, 신이 그려져 있는 일월오봉도 즉 우주의 조화를 완결해 차고 기우는 달의 자연이치로 조선을 영원히 빛내고자 했던 태조 이성계의 건국이념을 작품으로 승화한 것이다. 

이처럼 일연의 작품들이 전북 무용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지만 문제는 얼마나 지속적으로 우리 곁을 지킬 수 있느냐는 문제다. 영화나 소설 등과 달리 공연예술은 한번 무대에서 선보인 후 다시 볼 수 있는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이다. 특별한 프로젝트 일환으로 초연되는 경우는 많았으나 제작비 등의 수고로움으로 자주 공연되지 못하고 생명력을 잃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런 아쉬움을 달래기 위해 적은 인적자원과 제작비가 투입되더라도 자주 공연될 수 있는 생명력을 지녀야 한다. 

또 시대와 역사를 반영한 작품인 만큼 도민 모두 적극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매개역할을 충실해 해야 한다. 이런 점이 바로 애쓰게 작품을 만든 이유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전북 무용계의 최근 공연활동을 환영할 만 한다. 하지만 일회성에서 그치지 않고 공연 자체가 보다 지속적으로 전개되기 위해선 무용계 뿐 아니라 관계 기관들의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조석창 문화교육부장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